"이해찬 교육 1세대" 파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7일 김중권 대표가 주재한 민주당 고위당직자 회의에선 '공교육 종합발전특별위원회' 를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위기에 처한 공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교사.학부모 등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종합적 대안을 마련하려는 것" 이라고 8일 전용학(田溶鶴)대변인이 전했다.

당 관계자는 "특위에선 1998년 정부 출범 초 수립한 교육개혁 정책에 문제나 착오가 있었는지도 검토대상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해찬(李海瓚.얼굴)1세대' 논란을 언급했다.

이 논란은 "이해찬 정책위의장이 교육부장관 시절(98년)에 '중3 학생들(현 고3생)이 앞으로는 공부를 과거만큼 안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 며 교육개혁을 얘기한 탓에 학력이 떨어졌다" 는 것이다. 정동영(鄭東泳)최고위원 등 민주당 의원 6명의 '일일교사' 현장(6일)에서도 논란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이해찬 의장이 참석한 7일 회의에선 '이해찬 1세대'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민감한 사안이라 공개적으로 얘기하기를 꺼리는 분위기였다. 의약분업 같은 혼란이 다시 올까 걱정하는 얘기가 많았다" 고 전했다.

◇ "깔끔하게 마무리했더라면" 〓李의장도 직접적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정책위의장 임명(3월 25일)후 회의에서 "교원수 부족문제만 보면 문제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 그것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사석에서는 "조금 더(장관을) 했더라면 (교육개혁을)깔끔하게 마무리했을텐데" 라며 아쉬워했다고 한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