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문의 새 길] 비판시민사회론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서구학문 일변도의 시민사회론에 대한 '한국적' 변용의 측면에서나온 대안. 수직적 지배와 연고주의를 거부하는 탈(脫)권위의 시민사회론이란 점에서 시의성이 있다.

이런 목소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이른바 NGO로 상징되는 지금의 시민사회운동이 자칫 역할 과잉의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 이제는 시민사회운동 자체의 권력화를 견제해야 할 때가 됐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냉철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기존 시민운동에 대한 막연한 유토피아는 금물. 사이버 공간을 통한 여론의 수렴, 이를 바탕으로 한 '지구적 시민사회' 의 실현은 비판시민사회론의 이상적 목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