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카데미 뷰] 학술용어 토박이말로 바꾼 이상섭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어려운 학술용어를 쉬운 토박이말로 바꾼 공으로 1985년 한글학회 공로상을, 지난해는 우리말 사전을 펴내는데 힘썼다며 외솔상을 수상한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이상섭(63)교수.

연세 한국어사전 편찬실장을 맡고있던 98년에는 국내 최초의 자연언어 사전인 '연세 한국어사전' 을 펴내기도 했다.

이교수는 한국 영문학 비평사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영문학자. 그런 그에게 "비평사는 두고 왜 그리 국어에 관심을 두느냐" 는 주위의 핀잔도 없지않지만 이미 우리 글에 쏠린 마음은 어쩔 수 없다.

"피난시절 연대 국문과에 다녔던 큰 형의 영향이 컸죠. 그때부터 국어사전을 볼 때마다 제 마음엔 늘 아쉬움이 있었어요. 30년대 나온 조선어학회의 '조선어사전' 과 크게 다른 점이 없더군요. 어떤 사전은 북한사전을 베끼기도 했구요. "

그의 생애 최대 사업이라 할 수 있는 사전만들기를 결심한 것은 공교롭게 한글학회 상을 받은 85년. 이듬해 그는 '연세대 사전편찬회' 를 조직, 실제 작업에 착수한다.

"사전편찬학이 발달한 영국에서 수십권의 책을 주문하고 꼼꼼하게 읽었어요. 사전편찬은 처음이니 공부를 했어야죠. 10여년간 열시간 넘게 책을 본 날이 하루이틀이 아니었습니다. "

이 과정에서 '말뭉치(corpus)' 이론을 우리 실정에 맞게 재정립한 것은 국어학계의 큰 공으로 꼽힌다.

'말뭉치' 란 컴퓨터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가공한 언어자료. 89년부터 신문.잡지.소설.수필의 원문을 엄선.입력해 93년에는 20만권 분량(4천3백만 어절)의 말뭉치를 모았고 이 작업을 거듭해 '연세 한국어사전' 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 사전은 예문을 일상 쓰이는 말에서 가져와 우리말의 쓰임새를 가장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교수는 사전 편찬을 하며 얻은 덤이 있다. 두 아들이 연대 국문과를 졸업해 한국어사전 편찬실에 근무하던 연구원들과 결혼을 한 것. 같은 과를 나온 장남 기황씨까지 이제 이교수의 집안에는 같은 길을 가는 '동지' 가 3명이나 생겼다.

이교수는 앞으로 말뭉치의 입력범위를 북한말로 확대할 계획. 남.북한말 모두를 아우르는 사전을 만들어 민족의 동질화를 돕겠다는 더 큰 포부 때문이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