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윤선의 네티켓 세상] "이름을 밝히시지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63면

이름.성별.나이.취미 등의 개인 신상정보는 인터넷 공간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개인정보는 어떻게 활용되느냐가 중요한데, 올바른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를 요구하는 기업 뿐만 아니라 각자가 자신의 정보를 잘 관리해야 하다.

최근 인터넷의 토론문화를 보면 익명(匿名)성은 이제 인터넷 공간에서 보장받을 수 있는 선을 넘어서고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관리 네티켓의 기본은 우선 실명게재 원칙과 개인 전자우편, 홈페이지 등의 공개이다.

비회원제 사이트의 경우 대부분의 게시판에서 게시자의 의도에 따라 이름이나 성별 등 개인정보가 조작될 수 있다.

이에따라 스팸성 게시물.욕설.출처가 불분명한 루머들이 인터넷 공간을 혼탁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기업.정부기관.개인홈페이지 등 회원제와 무관한 사이트를 방문하여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경우 이름.전자우편 주소를 정확하게 써 넣어야 한다. 상대방이 답장을 주거나 해당 의견에 대한 입장을 올릴 때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회원제로 운영되는 사이트에는 자신의 정보를 정확히 입력한 뒤 가입하고, 꼭 필요한 사이트가 아니라면 가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회원제 사이트의 경우 주민등록번호 등으로 실명을 확인하므로 비실명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주소 등 평소 자신의 정보를 제대로 수정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컨대 이벤트.행사 등에서 경품에 당첨된 이들 가운데 10% 정도는 주소가 불분명하여 우송한 상품이 반송되고 있다.

또 회원번호(ID)는 자신의 이미지는 물론 상대방까지 고려해 정하는 것이 좋다.

fuck, suck, xxx, sex 등 욕이나 성적인 용어가 포함된 ID를 사용할 경우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자신의 이미지를 실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떤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했지만 현재 이용하고 있지 않을 때는 해지신청을 하는 것이 좋다.

홍윤선 네띠앙 대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