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우리측 입장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2일 판문점 준비접촉에서는 6월 평양 정상회담 준비 절차는 물론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이 논의할 의제도 구체적으로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 정부가 최우선 의제로 이산가족 문제를 제시할 예정이어서 북한측의 반응이 주목된다.

이와 관련, 정부는 북한측이 5년9개월 만에 판문점 당국대화에 응해 오는 적극적 자세를 보여 과거 같은 불필요한 신경전은 없을 것으로 낙관하는 분위기다.

회담 관계자는 "6월 12일 정상회담을 한다는 원칙에 이미 합의한 만큼 준비접촉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갖느냐에 따라 성과가 결정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 의제〓양영식(梁榮植.통일부 차관)수석대표는 "金대통령의 베를린 선언(3월 9일)이 뼈대를 이룰 것" 이라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대북(對北) 인프라(전력.철도.항만 등)건설 지원▶한반도 평화정착▶이산가족 상봉▶당국대화 재개 등 네가지를 제시했었다.

이 가운데 당국대화의 물꼬는 트인 만큼 현안인 대북 지원과 이산가족 문제가 초점이 될 수 있다.

준비접촉에서 지원 시기나 이산가족 상봉 규모 등 구체적 합의를 이끌어낸 뒤 평양에서 두 정상이 민족공동체 발전방안으로 공동 발표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부는 1998년과 지난해 잇따른 차관 접촉에서 불발로 끝난 이산가족 문제를 정상회담을 계기로 반드시 성사시킨다는 각오다.

이와 함께 상호 연락사무소 설치나 당국간 직통전화 복원도 적극 제기한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북한이 94년 때처럼 특정 의제 없이 '호상간의 당면문제' 를 포괄적으로 논의하자고 나올 경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비전향 장기수의 무조건 송환.국가정보원 해체 등도 곤혹스러운 주장이다.

북측 의도는 탐색전이라고 할 수 있는 22일의 첫 만남 때 공개될 기조연설을 통해 드러난다.

◇ 실무 절차〓방북 대표단의 규모와 왕래 절차.신변안전 보장.취재 문제 등이 논의된다.

특히 경호와 통신문제는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TV 실황중계나 위성전화 등 평양~서울간 통신도 북측으로선 민감한 사안.

그래서 양측은 94년 YS(金泳三 전 대통령).김일성(金日成) 정상회담 준비과정에서 합의한 절차를 교과서로 삼으려 한다.

북측도 19일 대남 전통문에서 '94년 때의 전례를 고려해' 란 표현을 썼다.

당시 정상회담은 보좌진 2, 3명과 기록요원 1명만 배석하는 단독요담으로 합의됐다.

또 대표단은 경호원을 포함해 수행원 1백명과 취재진 80명으로 짜였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