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금리 인상에 국제금융시장 무덤덤…추가 인상설에 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2일(현지시간)당초 예상대로 연방기금 금리를 현행 연 5.5%에서 5.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방기금 금리 5.75%는 4년 만의 최고수준이다.

FRB는 이와 함께 시중은행에 대출할 때 적용하는 재할인금리도 연 5.25%로 0.25%포인트 올렸다.

FRB가 금리를 인상한 것은 경기과열과 이에 따른 인플레를 우려했기 때문이다. FRB는 전후 최저수준인 저실업률(99년 4.2%)이 결국 임금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가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중반부터 두차례에 걸쳐 금리를 올렸지만 미국의 소비증가와 증시과열은 꺾일 기미가 없다.

아직 인플레이션을 입증할 만한 뚜렷한 징후가 없다는 데는 FRB도 동의한다. 그렇지만 예방주사를 놓을 필요성은 있다고 판단했다.

국제금융시장은 이날 0.25%포인트에 그친 금리인상에 별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미 시장에 다 반영이 돼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심사는 FRB가 얼마나 더 금리를 올리느냐에 쏠리고 있다.

현재로서는 3월 중 한?더 0.25%포인트를 올리고 5월에 다시 0.2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그렇게 될 경우 국제금융시장은 요동칠 가능성이 크다. 해외의 자금이 증시를 이탈, 미국의 채권시장으로 몰릴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유로권 금리가 3%대, 일본이 제로금리인 점을 감안하면 전세계적으로 동반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경기침체는 회복기미를 보이던 세계경기를 급랭시켜 새로운 경제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미 경제구조가 금리 몇 %에 좌우되지 않는 패러다임으로 바뀌면서 소비와 투자의 금리 탄력성이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금리인상에 따른 심리적 충격으로 증시가 일시 하락하는 일이 있더라도 '뉴 이코노미' 로 불리는 생산성 증가효과가 이를 메우고도 남을 것" 이라고 보도했다.

한국으로서는 미 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약 7천만달러의 외채이자 추가부담이 발생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인상조치가 단행되면 경기확장이 둔화되고 수출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