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결국 나눠먹기식 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두뇌한국 (BK) 21사업은 대학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올해부터 연간 2천억원씩 7년 동안 1조4천원을 투입하는 엄청난 교육정책이다.

그러나 연간 1백억원이 배정된 인문사회분야 대학원 중심대학 육성사업이 교수들의 '나눠먹기' 로 변질되고 있다.

당초 인문사회계 사업의 기본안은 한국학.사회발전 등 5개 분야에서 분야별로 2개 사업단을 선정, 지원해 21세기형 인재를 육성하고 입시 등 대학제도 개혁도 이끌어낸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내용이 발표되자 일부 교수들은 거리시위까지 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다.

소수 대학 집중 지원에 따른 대학.학문간 불균등 심화가 주된 이유였지만 과학기술분야를 집중 지원하는 데 대한 인문사회계 교수들의 불만도 상당히 작용했다.

그러자 여당과 교육부는 당정회의를 갖고 BK21에서 인문사회계 사업을 완전히 분리 추진키로 결정했다.

과학기술분야 사업 등 나머지 BK21에 대한 신청을 지난 20일 마감한 교육부는 인문사회계 사업의 추진업무는 대학과 학회에 완전히 떠넘기기로 했다.

인문사회계 주요 학회와 대학들로부터 2백여명의 교수를 추천받은 교육부는 다음주 이들 중 10~15명을 선정, 추진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지원분야.분야별 지원규모.선정기준.심사 등 모든 업무는 추진위원회가 도맡아서 처리하게 된다.

교육부는 최종 추진안이 나오면 공고만 하겠다는 생각이다.

결국 대학.학문분야별로 나눠먹기가 될 가능성만 커진 것이다.

교육부는 이런 방식을 통해 교수들이 더 이상 반발하지 않기를 은근히 기대하는 눈치다.

인문사회계 사업이 교육부의 무책임과 무소신으로 인해 지원금 나눠먹기식으로 결론난다면 국민의 혈세 1백억원은 사막에 물붓기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다.

교육부는 인문사회계 추진 방식을 재검토하는 것이 마땅하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