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회장 내놓은 1조3천억은 담보 아닌 사재출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김우중 (金宇中) 대우그룹 회장이 그룹 정상화를 위해 담보로 내놓은 1조3천억원의 주식과 부동산을 사실상의 사재출연으로 보고 모두 처분해 구조조정 재원으로 쓸 예정이다.

이는 金회장이 내놓은 주식이 담보용인 만큼 정상화가 완료된 후에는 되찾아 대주주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는 대우측의 입장과는 명백히 다른 것이다.

강봉균 (康奉均) 재정경제부장관은 2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金회장의 담보는 명백한 처분 대상" 이라며 "대우자동차와 ㈜대우의 경영이 정상화하면 金회장은 지분을 한주도 남기지 않은 채 물러나게 된다" 고 밝혔다.

康장관은 또 金회장 퇴진 이후 ㈜대우와 자동차의 경영권에 대해 "金회장 등이 내놓은 지분을 가져가 최대 주주가 되는 쪽에서 장악할 것" 이라며 "국내의 나머지 4대 그룹도 부채비율 2백% 등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이행한 뒤 자금이 남고 해당 그룹의 핵심 역량 사업에 해당되면 (인수가) 불가능하지 않다" 고 말했다.

이같은 康장관의 발언은 사실상 대우그룹의 소멸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康장관은 대우증권의 매각에 대해서도 "대우는 자동차와 ㈜대우만 남게 된다" 고 말해 당연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康장관과 이헌재 (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이기호 (李起浩) 청와대 경제수석은 21일 오전 조찬회동을 갖고 대우그룹 구조조정 계획에 대한 후속조치를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는 특히 채권단 내부의 이견으로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4조원 규모의 신규 자금지원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제일은행 등 대우그룹 채권단은 지원 원칙엔 가까스로 합의했으나 금융기관별 분담 등 구체적 방안을 놓고 입장차가 심해 난항이 거듭되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4조원의 배분을 놓고 투신사들이 자신들의 부담이 너무 크다고 반발하는 등 이견이 심해 지원 규모 배분.시기 등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현재 채권금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대우의 기업어음 (CP) 과 회사채는 모두 28조5천5백47억원으로 이 가운데 76.7%를 투신사가 보유하고 있다.

김광기.곽보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