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너스로 둔갑한 매춘부

중앙일보

입력

관련사진

photo

캔버스 위에 유채물감, 1863년, 130×190㎝, 프랑스 오르셰미술관.

이코노미스트 서양미술사에서 최대 스캔들을 일으킨 작품은 무엇일까? 에두아르 마네(1832~83)의 ‘올랭피아’를 꼽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마네는 이 작품과 ‘풀밭 위의 점심’ 덕분에 최고 스캔들 메이커로 떠올랐고 신세대 화가들에게 존경 받게 됐다.

에두아르 마네 ‘올랭피아’ # 전준엽의 그림읽기

마네는 아방가르드적 기질이 있는 사람은 아니었다. 프랑스 상류층 명망가의 자손으로 신사라고 불리는 원칙주의자였다. 그는 미술을 개혁한다거나 세상을 놀라게 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데는 관심이 없었다. 올랭피아 역시 자신이 본 사회 현실을 그대로 그린다는 생각에서 나온 작품이다.

이 작품이 발표되자 파리 사회는 분노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다. 평단에서는 올랭피아를 두고 ‘시체’ ‘암놈 고릴라’ ‘인도 괴물’이라는 악평을 쏟아냈고, 시민들이 작품을 훼손하려고 해 전시 기간 내내 경찰이 지켜야 했다. 견디다 못한 마네가 스페인으로 피할 정도였다.

사람들은 이 그림에 대해 왜 그토록 격정적인 반응을 보였을까? 그것은 누드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버렸기 때문이다. 서양미술에서 여성의 누드는 이미 오래전부터 주요한 주제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기존 누드는 비인격적이고 이상화됐다. 완벽한 비례의 몸매에 털이 없는 대리석 같은 피부를 지녀야 했고 이국적인 인물이나 신화 속의 인물만을 대상으로 해야 했다.

특히 당시 인기 있는 누드화의 주인공은 성스러운(사실은 남성들의 성적 환상 충족을 위한) 비너스였다. 그런데 마네가 그린 것은 비너스가 아니었다. 신화 속 인물 대신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현실 속 여인의 알몸을 고스란히 보여준 것이다. 올랭피아의 모델은 빅토린 뮈랑이라는 인물이다.

마네의 또 다른 문제작 ‘풀밭 위의 점심’에서 이미 알몸을 보여준 그녀는 인기 있는 모델이면서 매춘부였다. 누드화에 비너스 대신 매춘부를 등장시켰으니 사회적, 성적 관습에 엄청난 도전을 한 셈이었다. 더구나 이 그림에는 여인의 숨결, 체취, 정면을 응시하는 에로틱한 눈길 등 손에 잡힐 듯한 생생함이 나타나 있다.

또 매춘부의 침실 분위기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이를 살리려고 마네는 손님으로부터 온 꽃다발을 건네는 하녀를 흑인으로 처리했고 머리에는 최음제로 알려진 난초꽃을 그려 넣었다. 여기에 올랭피아 발치에다 꼬리를 바짝 추켜올린 검은 고양이까지 등장시켜 성적 이미지를 한껏 고조시켰다.

모네는 왜 비너스를 매춘부로 둔갑시켰을까? 매춘부 전성시대였던 당시 사회 현실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심지어 예술작품의 가장 인기 있는 주제가 매춘부일 정도였다.

전준엽 화가·전 성곡미술관 학예연구실장

매거진 기사 더 많이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