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이총재 회담 '대화와 타협의 정치' 합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민회의 총재인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총재는 10일 국난 극복을 위해 여야가 상호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대화와 타협을 통한 성숙한 정치를 복원하기로 했다.

金대통령과 李총재는 청와대에서 2시간20분에 걸쳐 단독 오찬회담을 가진 자리에서 그동안의 여야 대치상황에 대한 유감을 표시하고 이같이 합의했다.

두 사람은 이같은 합의에 기초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여야 협의체를 구성하고, 경제위기 재발방지를 위해 12월 8일 경제청문회를 열기로 하는 등 6개항의 발표문에 서명했다.

두 사람은 발표문 전문에서 "여야가 동반자적 관계를 토대로 상호 존중과 협력의 정신으로 국정을 운영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며 "앞으로도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는 여야간 총재회담을 갖기로 했다" 고 밝혔다.

두 사람이 여야간 협력에 합의함에 따라 정치인 사정문제로 시작된 2개월여의 여야 대치국면은 일단 끝나게 됐다.

회담에서 李총재는 "사정은 당연한 것이지만 보복.편파사정은 개혁의 본질을 해친다" 고 지적했으며 金대통령은 "내가 당해본 쓰라린 체험을 통해 보복사정은 있을 수 없고, 그 점은 아직도 확실하며 믿어도 된다" 고 말했다.

金대통령은 또 "고문과 도청은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며 만약 있다면 철저히 밝혀야 하고 불법도청.감청 방지를 위해 여야가 협의해 법을 만들어 달라" 고 강조했다.

金대통령은 "판문점 총격요청 사건 관련 3인은 李총재의 선거운동을 도운 주변 사람으로서, (李총재가) 정치적.도의적 책임은 있지만 李총재가 직접 관련돼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고 말했다.

李총재는 이에 대해 "총격요청은 있을 수 없는 일로 철저한 진상규명을 해야 하지만 강압수사로 사실이 왜곡돼서는 안된다" 고 강조한 뒤 金대통령이 지적한 정치적.도의적 책임에는 "동의할 수 없다" 고 말했다.

李총재는 또 "강제적.인위적 야당 의원 빼가기로 (여야관계가) 이렇게 됐다" 고 지적하자 金대통령은 "인위적으로 야당 의원들을 빼갈 생각이 없으니 야당도 (국정 운영에) 적극 협력해 달라" 고 당부했다.

두 사람은 이밖에 개혁과 민생 안정 안건을 이번 국회 회기내에 처리하고 국회 정치개혁특위를 통해 정치관계법을 개정하며 지역갈등 극복과 국민화합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 의 강구에도 합의했다.

이연홍.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