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초점]기아자동차 의혹 캐물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6일 재경위의 여야 의원들은 기아자동차 낙찰과정의 문제점과 의혹을 집중 추적했다.

국감 대상이 기아차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었고, 유종렬 (柳鍾烈) 기아차 법정관리인도 증인석에 섰다.

무엇보다 의원들은 '정치적 고려여부' '정부의 과도 개입문제' 등 입찰에서 낙찰까지의 불투명한 대목을 우선 파헤치려 했다.

박명환 (朴明煥.한나라당) 의원은 "산은은 1차 입찰로 낙찰자를 정하려고 했으나 정부 고위층의 압력으로 유찰시켰다는 것이 사실이냐" 고 따졌다.

김재천 (金在千.한나라당) 의원은 "기아차 처리를 놓고 여섯차례나 청와대에서 관계기관 대책회의가 열렸고, 기아차와 아시아차를 일괄 처리한다는 결론도 대책회의에서 정해졌다" 고 주장했다.

특히 金의원은 "3차 입찰 발표 전날인 10월 18일 이근영 (李瑾榮) 산은총재와 유종렬 관리인이 만나 입찰무효를 선언하고 포드와 수의계약을 추진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가 오후 늦게 현대 낙찰로 번복된 게 맞느냐" 며 막판까지 오락가락한 사연을 캐물었다.

그는 또 "아시아자동차 인수자는 광주지역에서 15년동안 영업을 계속해야 한다는 입찰조건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 정치적 고려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의원들은 입찰이 3차까지 진행되는 동안 부채탕감액이 갈수록 확대된 점을 문제삼았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깎아준 빚은 고스란히 국민이 세금으로 대신 내줘야 하기 때문이다.

박정훈 (朴正勳.국민회의) 의원은 "삼성이 1차 입찰에서 요구한 부채탕감액은 2조4천억원인 반면 최종 3차 낙찰자인 현대의 부채탕감액은 7조3천억원" 이라며 "두차례 유찰로 5조2천억원의 손실을 입은 만큼 입찰관련자를 문책하라" 고 촉구했다.

김근태의원 (국민회의) 은 "기아차 처리에 14개월이 걸리면서, 앉아서 문 이자 등이 7백억원" 이라고 질타했다.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