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유비축 '발등의 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석유 비축량을 늘리고 싶은 것은 한.중.일 3국이 같다. 석유를 생명선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은 일본. 1973년 제1차 석유 위기 때 크게 혼쭐이 났던 일본은 75년 '석유 비축법'을 제정한 데 이어 정부 주도로 '석유 공단'을 출범시켰다. 지난해 이라크 전쟁이 터진 이후에는 '30년의 장기 에너지 전략 정책'도 세웠다.

수입선 다변화에서 석유 자체에 대한 의존도 낮추기 등 아이디어가 속출했다. 그 결과 지난 3월엔 정부 비축분 88일, 민간 비축분 74일을 달성했다. 유통부문 재고를 더하면 비축분은 반년 정도로까지 올라간다.

79년의 제2차 석유 위기를 겪은 한국도 정부 주도의 '석유 위기 대응 시스템'을 가동시키고 있다. 석유 비축기지도 여덟 곳에 이른다. 현재 비축분은 정부 47일, 민간 60일이다. 2008년엔 정부 비축분도 60일로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중국.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의 석유 소비국이 된 중국은 이라크전이 시작되자 석유 비축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지난 3월 다롄(大連) 등 네 곳을 비축기지로 선정했다. 50억위안(약 700억원)을 들여 500만t을 저장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24일에 불과한 비축분을 2005년 말엔 정부 14일, 민간 21일 등 총 35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010년까지는 정부 22일, 민간 28일로 더욱 늘린다는 구상이다.

유상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