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청천벽력 같은…” 민주당 “말로 표현 못할 슬픔”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23일 양산 부산대병원 영안실 앞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해 당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왼쪽은 이강래 원내대표. 김상선 기자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급서(急逝) 소식에 정치권은 경악했다. 소식이 알려진 직후만 해도 “설마, 믿기 어렵다” “사실이냐”고 되묻는 모습이 보였다. 그러다가 점차 “비통하다” “안타깝다”는 반응으로 바뀌어 갔다. 오후 들어선 완연한 근조 기류였다. 일각에선 향후 정치적 파장을 가늠해 보기도 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2시 비상최고위원회의를 소집했다. 정몽준 최고위원과 안상수 원내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애도 차원에서 기립 묵념을 했다. 안 원내대표는 “비보에 우리들 모두 충격에 싸여 있다. 국민도 지금 매우 비통해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노 전 대통령과 사시 동기(17회)이기도 한 그는 “사법연수원 동기이고 친구인데 너무나 당혹스럽다”고 토로했다.

최고위는 이날 정부에 “노 전 대통령의 장례 절차에 최대한 예우를 갖춰 달라”고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중앙 당사에 근조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다. 조윤선 대변인은 “애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논평했다. 당 지도부는 회의를 끝낸 뒤 곧바로 부산대병원에서 조문했다.

호주를 방문 중인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도 일정을 취소하고 급히 귀국길에 올랐다. 박 대표는 이날 호주의 한 연구소를 방문하던 중 소식을 전해 듣고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에 너무나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24일 도착하는 대로 조문할 예정이다.

여권 내부엔 파장을 놓고 고심하는 흐름도 있다. 노 전 대통령의 극단적인 선택과 그가 남긴 말, 검찰 수사 중인 상황이 한데 어울려 민심을 뒤흔들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중진 의원은 “오늘 만난 사람들 대부분이 ‘너희들은 잘한 게 뭐냐’고 따지는 걸 보면 역풍이 만만치 않겠다”고 말했다. 여권에선 노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뿐만 아니라 현 정부에 비판적인 인사들도 이참에 결집하는 게 아닌가라는 얘기도 나왔다. 올 초 용산 철거민 사망 사건과 지난해 촛불시위와 같은 일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였다. 친이 핵심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당분간은 아무것도 못 하게 생겼다”고까지 말했다.

민주당은 더욱 비통했다. 이날 긴급지도부회의에서 중앙 당사는 물론 시·도 당사에도 분향소를 설치키로 결정했다. 향후 당 일정도 모두 취소했다.

정세균 대표는 “상주(喪主)가 된 입장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고 김유정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회의 결과를 전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깊은 애도를 표한다. 말할 수 없는 충격과 슬픔을 금할 길 없다”고 논평했다.

당 지도부를 포함, 야당 인사들이 속속 부산대 병원과 봉하마을 빈소를 찾았다. 한명숙 전 총리와 문희상 전 대통령 비서실장,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포함됐다. 일부 인사들은 눈시울을 붉혔다.

현 정부를 향한 격한 비난도 나왔다. 김 대변인은 “누가 무엇이 왜 전직 대통령의 비극적 최후를 맡게 했는지 국민과 역사는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의 측근인 안희정 최고위원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 인사들에게 폭력과 린치를 가했다”며 “이명박 대통령, (당신이) 원했던 결과가 이건가. 검찰, 당신들이 원한 결과가 이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사실상 정치적 타살”이란 표현까지 썼다. 조문 과정에서 정 대표 일행은 노 전 대통령 지지자들로부터 “뭐가 잘나서 왔느냐”란 욕설을 듣기도 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노 전 대통령의 불행한 서거 소식에 충격에 빠져 있을 국민 여러분께도 안타까운 슬픔과 당혹감을 전하며, 이번 사태가 초래할 수도 있는 모든 가능성에 큰 걱정과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거가 국민 간에 대립과 분열이 격화되는 도화선이 되기보다 서로 이해와 화해의 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형오 국회의장은 애도 성명에서 “충격과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며 “우리 역사에 이런 불행한 일이 일어나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국회 차원에서도 노 전 대통령의 장례를 비롯한 사후 절차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시했다.

고정애·백일현·선승혜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