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 세계의 조류]8.끝 패권노리는 중국…북경대 교수 추언텐 인터뷰(2)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해 국제사회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강대국간 관계가 조정국면에 돌입하면서 핵분열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같은 다극화체제는 아태지역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추언톈 (邱恩田) 베이징 (北京) 대 국제정치학 교수는 아태지역에서 중국세가 급부상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다극화현상의 큰 흐름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다극화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강대국간 새로운 힘의 균형입니다.

중국이 지난해 러시아와 '전략적 동반자관계' 를 더욱 심화시키고 프랑스와 '전면적 협력관계' , 미국과 '전략적인 건설적 협력관계' , 일본과 '안정적 우호관계' 를 각각 설정한 것도 다극화를 위한 노력으로 봐야 합니다."

- 미국은 앞으로도 계속 초강대국으로 남게 될까요.

"군사적으로는 그렇겠지만 경제적으론 아닐 겁니다.

중동문제, 대 (對) 중국 및 동남아국가연합 (ASEAN) 관계에서 미국은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중국이 아시아의 중심세력으로 등장하리라고 보십니까.

"그렇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일본.ASEAN.한국 등과 함께 세계의 다극화체제 안에서 동아시아의 축이 될 것이라고 말하는 편이 더 정확할 겁니다.

아시아 질서가 중국 중심으로 재편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베이징 = 문일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