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뉴스] 새벽 3시의 순간 (3am moment)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5일 새벽 4시30분(현지시간) 체코 프라하 힐턴 호텔. 로버트 기브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잠들어 있는 스위트룸 문을 노크했다. 북한의 로켓 발사 소식을 전하기 위해서였다. 잠에서 깬 오바마는 즉시 동행하고 있던 안보 관련 장관·보좌관 등과 대책을 논의했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 제임스 존스 국가안보보좌관, 람 이매뉴얼 비서실장 등 본국에 남은 사람들과는 전화 통화를 했다.

오바마는 회의 후 “동북아와 국제 평화·안보를 위협하는 도발”로 규정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소집을 요청하는 긴급 성명을 발표했다.

파이낸셜 타임스(FT)는 6일 새벽의 긴급 회동을 오바마가 맞은 첫 ‘새벽 3시의 순간(3am moment)’이었다고 보도했다. ‘새벽 3시’는 시도 때도 없이 발생하는 긴박한 국제문제에 대처해야 하는 미 대통령의 고된 외교·안보 업무를 상징한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오바마와 민주당 대선후보 경쟁을 벌이던 지난해 3월 ‘새벽 3시의 전화’란 광고를 TV에 내보냈다. “새벽 3시, 당신의 자녀들이 잠들었을 때 백악관의 전화벨이 울립니다. 지구촌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전화에 누가 답할지, 당신의 투표가 결정할 겁니다”란 내용이었다. 자신이 오바마보다 군사·안보 문제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CNN 등 미국 언론은 5일 오바마가 첫 ‘새벽 3시의 순간’을 맞아 훌륭한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ABC 방송의 백악관 출입 선임기자 제이크 태퍼는 회사 블로그에 “(이날 오바마의 대처는) 국제문제에 대해 클린턴보다 더 나은 판단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 한 편의 반대 광고”였다고 썼다.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