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개혁법안 통과되면 어떻게 되나…금융기관 통폐합 도미노 예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금융산업의 구조조정이 훨씬 현실감 있게 다가왔다.

그동안 정부는 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을 말로만 해왔지 구체적인 방법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 법안을 통해 금융기관의 인수.합병 (M&A) , 부실정리등 구조조정의 인프라를 갖추게 됐다는 것이다.

구조조정의 고삐는 예금보험공사가 쥐게 된다.

발등의 불인 종금사가 구조조정의 첫 케이스다.

다음주 재정경제원의 부실종금사 대책을 담은 금융시장안정 후속대책이 나오면 금융기관 통폐합이 연쇄적으로 촉발될 것으로 보인다.

어떤 대책이 나올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부실종금사들끼리의 M&A는 부실만 더 키울뿐 의미가 없다.

우량종금사들도 부실종금사를 인수할 능력이 없다.

은행이 떠안는 방안이 거론되고는 있으나 은행도 제코가 석자다.

한편으론 내년의 금융시장 개방에 맞춰 외국자본에 넘기는 방법도 있다.

단, 외국인이 50%이상 출자할 수 있도록 과감히 열지 않으면 이것도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우량종금사들이 M&A를 통해 은행이나 증권사로 업종을 바꾸는 길도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종금사라는 업태 (業態)가 없어질 가능성도 있다.

장기적으로 기업어음 (CP) 업무가 은행에 확대되면 결국 단자회사로 출발한 한국금융 고유의 '토종닭' 이 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어 은행도 구조조정의 바람을 정면으로 맞게 됐다.

예금보험공사는 은행의 파산이나 M&A과정에 직접 개입하게 된다.

공사는 우선 은행의 부실이 완연할 경우 금감위에 검사를 요청할 수 있고, 파산과정을 처리할 정리전담은행 (일명 가교은행) 을 세우게 된다.

재경원 관계자는 "예금보험기금을 통해 부실은행을 인수하는 기관에 대해 그 손실분을 메워줌으로써 구조조정을 적극 유도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 금융기관이 은행.증권.보험등 여러 업무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겸업화도 구조조정과 보조를 맞춰 병행된다.

선진국 금융기관들이 종합금융기관으로 변신하면서 경쟁력을 쌓아가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면 빨리 추진해야 할 부분이다.

어쨌든 '빅뱅' 으로 가는 길은 일단 뚫린 셈이다.

그러나 신호등도 달고, 차선도 긋고, 도로표지판도 세우는등 후속작업이 수두룩하게 남아 있다.

남윤호.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