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때 영향 미미한 ‘스펙’ 1위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고용 빙하기’로 인해‘장미족’이 급증하고 있다. ‘장미족’은 장기간 취업을 하지 못한 대학 졸업생을 가리키는 말로 ‘장미처럼 겉으로는 화려한 취업 스펙(학력, 학점, 토익 등)을 지녔지만 오랜 기간 취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구직자’를 뜻하기도 한다.

국내 인사 담당자들이 선호하는 취업 요건과 그렇지 않은 취업 요건을 잘 구분해 ’입사 전쟁‘을 치러야 하겠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622명을 대상으로 ‘입사 합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스펙’에 대해 조사한 결과(복수응답) ‘인턴 및 아르바이트 경력’이 54.3%를 차지했다.

이어 ‘관련 분야 자격증’ 50.6% ‘영어 회화 능력’ 44.5% ‘공모전 수상경력’24.4% ‘해외 어학연수 경험’16.2% ‘높은 토익ㆍ토플 점수’15.9% ‘사회봉사활동 경력’14.1% ‘동아리 활동경력’11.7% ‘MBA 및 해외학위’10.6% 등의 순이었다.

반면 ‘취업스펙 중 입사 합격 여부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으로는 ‘한자시험’이 41.5%로 나타났고 이어 ‘높은 학점’34.2% ‘동아리 활동 경력’33.0% ‘사회봉사 활동’24.1% ‘MBA 및 해외학위’22.2% ‘높은 토익ㆍ토플점수’22.0% ‘한국어 능력(문서작성 등)’ 21.2% 등으로 집계됐다.

취업 시 필요한 부문임에도 불구하고 구직자들이 소홀히 하고 있는 것에 대한 질문에는‘대인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56.8%로 가장 높았고 이어 ‘기획서 및 문서작성 능력’38.7% ‘비즈니스 예절’33.8% ‘기업실무’31.2% ‘프리젠테이션 능력’30.7% 등이었다.

이지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