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기 왕위전 본선 리그' 커지는 중앙, 白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제38기 왕위전 본선 리그
[제7보 (110~132)]
白.金主鎬 4단 黑.安達勳 5단

바둑에서 기술이 전부라면 우세한 바둑이 뒤집힐 리 없다. 우세하게 이끌었다는 것 자체가 기술이 있음을 증명하는데 왜 그 바둑이 뒤집히겠는가.

바둑은 심리전이다. 바둑판 위에도 오욕칠정(五欲七情)이 존재하며 그래서 인간이 지닌 온갖 마음의 변화가 표출된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잊어버리고 돌의 마음(石心)과 돌의 소리(石音)에 귀를 기울일 수 있다면 그는 진정한 강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크게 우세한 백의 김주호가 방심에 빠져들고 있다. 사고만 나지 않는다면 끝났다고 생각하며 흑의 중앙이 부풀어오르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다. 112로 굳이 좁은 우변을 지킨 것도 이런 안이한 대세관이 작용하고 있다.

사실 우변은 백이 두터운 곳이라 집이 불어나봐도 몇집 안 된다. '참고도'백1로 삭감하는 것이야말로 이 장면에서 가장 시급한 일이었으나 긴장을 푼 김 4단의 눈엔 중앙이 그리 대수롭게 보이지 않았다. 위기는 이렇게 해서 점점 자라고 있었다.

125로 지키자 상변과 중앙이 기세를 떨치며 부풀어오르려 한다. 백의 우변이 3선으로 지어진 집이라면 상변은 자칫 7선으로 집이 날 우려가 있다. 김 4단은 비로소 126으로 낙하산을 띄우고 있다. 이것으로도 집은 어렵다고 본 것인데 127,131 등 이어지는 안 5단의 수들이 상상외로 날카롭다.

생사를 건 좌하의 격전에서 패퇴한 안달훈은 마음으로 패배를 받아들이고 있었기에 오욕칠정을 다 거두고 판에 몰입할 수 있었다.

박치문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