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상품진흥원 ‘이산화탄소 배출량’인증 … 상품 선택 도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0면

이산화탄소표시 제도는 지난해 8월부터 10개 품목에서 시범실시되고 있다. CJ의 햇반은 210g짜리 제품당 383g의 온실가스를 내보낸다. 쌀을 재배하는 데 173g, 공장에서 즉석밥을 만들어 운반하는 데 206g, 플라스틱 포장재를 처리하는 데 4g의 이산화탄소가 나온다. 금호아시아나의 A330-300 여객기를 타면 ㎞당 109g의 온실가스가 방출된다. 인천~로스앤젤레스를 왕복하면 1t이 넘는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셈이다. 진흥원은 기업의 자발적 신청을 받아 이처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해 인증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인증을 받으면 제품에 ‘기후변화대응’이란 표시를 달 수 있다.

지난해 10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이상영 친환경상품진흥원장(뒷줄 오른쪽에서 넷째)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상품전시회가 열렸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면 ‘저탄소 상품’이란 표지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J는 밥을 짓는데 액화천연가스(LNG) 대신 공장 근처 폐기물 소각시설의 폐열을 활용해 에너지 소비를 20~30% 줄이는 계획을 세웠다. 아시아나는 비행기의 지상 활주시간을 줄이고 연료 탑재량을 최적화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친환경상품진흥원 제품평가국의 김익 팀장은 “이런 이산화탄소표시 제도는 2007년 영국에서 처음 시작한 이후 스웨덴·캐나다·미국 등으로 확산됐으며 올해에는 일본도 도입할 예정”이라며 “지난해 수도권 주민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가 ‘제품 구매 시 이산화탄소배출량 정보를 확인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고 ‘구매 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69%에 달해 이산화탄소표시제도의 효과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친환경상품진흥원은 환경부 일을 나눠 맡아 탄소표시제뿐 아니라 환경마크와 정부의 친환경상품 구매 지원도 담당한다. 환경마크는 상대적으로 오염이 적거나 자원을 절약하는 제품에 붙이는 것으로, 1992년 국내에 도입됐다. 지난해에는 삼성전자가 옥수수 전분을 발효시켜 만든 플라스틱을 배터리 커버 등에 사용한 ‘에코폰’을 내놓아 국내 휴대전화 최초로 환경마크를 받았다. 이를 단 상품 수는 2004년 1540개에서 지난해에는 6005개로 늘었다. 2003년 2626억원에 그친 정부의 친환경제품 구매 액수도 2007년에는 1조3437억원으로 급증했다. 이상영 진흥원장은 “전 세계가 양적인 발전의 시대를 보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며 "진흥원은 친환경 상품의 생산·소비를 활성화해 환경과 경제가 균형점을 찾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창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