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잔업 안했는데 수당 지급, 그만” 노조에 퍼주기 없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현대·기아자동차는 그간 일을 하지 않아도 관행적으로 생산직에게 줬던 잔업수당의 지급을 중단하겠다고 5일 노조에 통보했다. 하지만 노동조합원들은 일종의 ‘생계형 급여’였는데 이를 없애는 것은 경영 실패의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기아차 경기도 광명 소하리공장 직원들이 5일 ‘잔업을 하지 않아도 관행적으로 지급했던 잔업수당 지급을 중단한다’는 공고문을 보고 있다.


회사 측 결정은 세계적 경기침체 파장으로 자동차 판매 부진이 이어지면서 일감이 줄어 발생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석 달 동안 차 판매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 정도 줄었다. 기아차의 경우 지난해 11월부터 소형차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장에서 특근을 없앴다. 12월부터는 하루 주야 각각 2시간씩 하던 잔업도 없앴다. 올 들어서는 소형차인 프라이드·포르테를 제외한 13개 생산라인에서 잔업 없이 주야 2교대로 생산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직 근로자들은 그간 잔업이 없어도 조립라인에 남아 교육 등을 받으면서 수당을 받았다.

이에 앞서 기아차는 2005년 9월 노조와 잔업수당 지급에 관한 단체협약을 맺었다. 당시 회사 측이 해외공장 생산을 확대하자 노조는 일감이 줄 것을 우려해 파업으로 맞서며 국내 생산물량 확보를 요구했다. 협약에는 “생산직의 경우 잔업 2시간을 기본으로 운영하지만 작업물량 부족 등 통상적인 근로 형태 유지가 곤란한 경우에는 별도 협의하여 결정한다”고 명시했다. 경영진이 잔업 2시간 이상의 물량 보존을 약속한 셈이다. 그런데 지난해 말부터 판매가 부진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기아차는 2007년 7차례, 2008년 22차례 등 29번에 걸쳐 노조와 생산물량이 없는 조립라인에 대한 잔업 중단 협의를 요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노조는 고정적인 잔업물량 확보를 요구하며 협의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잔업을 하지 않는 생산직에게도 잔업수당을 지급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회사 측이 일하지 않은 잔업 수당을 더 이상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노조는 이런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2005년 단체협약 당시 물량보존을 약속받았기 때문에 잔업수당은 실질 임금과 마찬가지라는 주장이다. 물량이 줄어 잔업을 못하게 된 것은 경영진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한 노조 집행부 관계자는 “잔업수당은 물량 보존 약속에 따른 생계형 급여”라며 “경영진이 해외 공장을 많이 지은 것이 이번 판매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인데 모든 것을 근로자에게 돌리고 있다”고 반발했다.

현대차도 생산물량이 줄어든 이번 기회에 확실한 전환배치제를 정착시키겠다는 의지다.

생산계획에 따라 일손이 달리는 조립라인에 작업자를 전환 배치하는 방식이다. 현대차는 지금까지 노조의 반발로 전환배치에 대한 협약을 해놓고도 각 공장에서 이를 시행하지 못했다. 도요타의 경우 매달 한 번씩 생산계획에 따라 공장 작업자를 전환배치한다. 미국 빅3(GM·포드·크라이슬러)도 물량이 달리던 1970년대 노조와 퍼주기식 협상으로 일관해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당시 파업으로 맞서던 노조에 경영진이 퇴직자까지 의료비 평생 지급 등을 약속해 고비용 생산구조를 만든 것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김태진 기자

[J-HOT]

▶ 돈 좀 벌었다고 BMW 뽑고 파티나 참석하니…

▶ 건강을 위해 꼭 체크해야 하는 수치 3가지

▶ 실수였는데…107m 날아가 '세계 신기록'

▶ 장쯔이 낯뜨거운 애정행각 열받은 中네티즌 부글부글

▶ 고현정 "아이들 눈에 자꾸 밟힌다,이혼은…"

▶ 헉, 곡괭이 5개 꽂힌 아우디 도대체 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