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國 수출 내년엔 회복-올 부진 '경기순환'일시 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최근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둔화세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유럽등 서구측에서는 현재의 수출.성장둔화를 「구조적」인 것으로 우려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정작 당사자인 아시아에서는 이는 「일시적」이며 별 문제가 없다는 쪽으로 결론을 내리고있다.최근 아시아경제를 조감하기 위해 아시아개발은 행(ADB)후원으로 열린 워크숍에 참석한 아시아 경제학자들은 『아시아 지역의 수출둔화세는 일시적 현상이며 금세기말까지는 견조한 신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들은 또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률 저하가 수출둔화에 영향을 받긴 했 지만 그보다는 경기과열을 우려해 중국.태국.말레이시아정부가 취한 긴축정책에 더 많이좌우됐다고 분석했다.
ADB 수석연구원인 비스바나스 데사이박사는 내년도 아시아지역의 평균 성장률이 인플레 진정과 수출회복세에 힘입어 올해와 같은 7.3%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어 아시아 국가들의 경상수지 적자도 수출둔화와 함께 수입도 감소하고 있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또 상반기 수출증가율이 지난해의 28%에서 올해 7%로 낮아진 것은 지난 몇년간 세계교역이 이례적으로 활발했던데 따른 상대적 둔화라고 설명했다.
아시아 경제학자들은 한마디로 이같은 수출둔화세를 구조적 요인보다는 경기순환적 측면에서 봐야한다는 입장이다.
중국의 경우도 올 상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비 8% 감소했으나 최근 회복세로 돌아서 연간 6% 증가가 예상되며 올 상반기 7%에 머물렀던 아시아 평균 수출증가율도 내년엔 다시 13%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ADB의 이번 워크숍은 선진국 정부와 유수한 투자기관.대학.
상업은행등을 상대로 아시아경제를 바로 보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것이었으나 서구에선 인건비상승.사회간접자본 부족등에 따른 구조적 문제의 노출이란 지적이 적지않다.
〈심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