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외교틀 세울 새 國務 필요-脫냉전 미국노선 표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미국 외교전문가들은 이번 대통령 선거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유세과정을 통해 탈냉전 외교의 밑그림이 명료하게 그려지고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길 바랐던 기대가 무산됐기 때문이다.많은 전문가들은 지난 4년과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미 외 교는 표류할수밖에 없게 됐다고 개탄한다.대통령선거에서 미국 외교를 밀고 갈 원칙이 제시되고 국민들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거치지 않았으니 앞으로 어떤 정책인들 대내외적으로 설득력있게 밀고 갈 수 있겠느냐는 우려다.
양당 대통령후보들조차 미뤘던 이 숙제는 클린턴 집권 2기 워런 크리스토퍼를 대신해 들어올 새 국무장관에게 넘겨졌다.
사실 냉전 이전의 미 외교노선은 단선적이었다.모든 전술은 소련과 공산권의 봉쇄라는 전략적 안경으로 보아지고 평가됐다.국민적 합의는 이미 거기에 있었고 대응책은 자동적으로 마련됐다.논란은 있을 수 있으나 의문의 여지는 없었다.그러나 냉전후 상황은 일변했다.예전의 단순한 도식은 더이상 적용되지 않는다.단적으로 러시아의 군사력이 무서운게 아니라 경제적 위기가 두려운 상황이다.
최근 로버트 맥나마라 전국방장관등은 핵우위를 여전히 즐기고 있는 미 정부에 핵무기의 완전 철폐를 주장했다.핵무기는 의도적도발이 아니라 우발적인 사고로 발사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나라가 갖지 않는게 안전하다는 주장이다.더구나 미국이 핵무기를보유하면서 다른 나라의 핵무기 보유를 막는다는 건 설득력이 약하다고 주장한다.물론 이같은 주장에 대한 반대도 적지 않다.
문제는 이런 이견 그 자체에 있지 않다.무엇을 반대하던 냉전외교는 끝났는데 무엇을 지향해야 할지 미 외교의 목표가 아직 불분명한데 있다고 평자들은 지적한다.이들은 미 외교의 본질적인문제들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할 필요가 어느 때 보다 높은데도 대통령후보들조차 거론을 피할만큼 국내사정이 얽혀 있다고 분석한다.
탈냉전의 신세계는 미국의 인적.물적 부담을 경감시켰지만 탈냉전의 평화분담금을 국민들에게 돌려줄 만큼 넉넉한게 아니다.그런데도 미 국방.외교부문 예산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다.세계평화유지의 핵심국으로 기능하기 위한 인적.물적 부담의 필요는 늘어가지만 국내정치의 기류는 이를 뒷받침하지 않는다.의료부조등 돈들어갈 곳은 많은데 재정적자를 감축해야 하니 쓸 돈도 마땅치 않다는 말이다.
따라서 미 전문가들은 새 국무장관이 하루빨리 미국외교의 새로운 틀을 세우거나 선택해 국내외에 이를 알리고 납득시키는데 주력하길 바란다.국민적 합의와 세계 각국의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이런 이유 때문인 지 상원에서민주당을 이끌었던 조지 미첼이 후임 국무장관으로 유력하게 부각된다. 오랜 의정생활로 몸에 밴 대화와 토론능력이 대국민 설득에 적절히 발휘될 수 있으며 삭감일로를 걷는 미 외교예산을 되돌이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보이기 때문이다.
이재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