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언론들의 ‘한국 물어뜯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외환위기 때도 일부 외국 언론의 왜곡·과장 보도는 불안하던 금융시장을 패닉으로 몰고가는 기폭제가 됐다. 마찬가지로 요즘처럼 금융시장이 흔들릴 때 나오는 잘못된 외신은 한국 경제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 외국인들은 이런 보도를 통해 한국 경제가 위험하다고 보고 돈줄을 조이고, 투자를 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신의 잘못된 보도에 ‘강력히 대응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미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해명 자료를 내고 정정을 요청했다. 필요에 따라서는 반론보도문 게재도 요구하기로 했다.


9일 금융위원회는 ‘한국의 은행들, 과거 실수 망각’이라는 제목의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 기사에 대해 해명자료를 내고 반박했다. 이 신문은 8일자에서 “한국의 은행들이 1997년처럼 달러를 빌려서 원화로 빌려줬고, 원화가치가 떨어지자 위기를 맞게 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보도는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금 873조원은 대부분 달러를 빌려서 마련한 것이 아니라 원화로 조달됐다.

국내 은행이 외화로 조달한 자금은 대부분 외화로 운용하고 있다. 6월 말 기준으로 국내 은행의 외화 부채는 2362억 달러다. 반면에 갖고 있는 외화자산도 2277억 달러에 달한다. 외화로 조달한 자금의 96.4%를 외화로 운영하는 것이다.

이날 파이낸셜 타임스의 기사도 논란이 됐다. 이 신문은 “한국은 아시아에서 금융위기에 감염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며 “기업·은행·가계 모두 과도한 차입 상태에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실상은 완전히 다르다. 기업의 부채비율은 97년 425%에서 지난해 107%로 4분의 1로 낮아졌다. 은행의 예대율도 양도성예금증서(CD)를 포함하면 7월 말 기준으로 105.4%에 그친다. 100%가 넘어가는 5.4%에 대해서만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한다는 뜻이다. 예대율은 미국(112%)보다 낮은 수준이다. 가계 부문에서도 금융자산이 부채보다 2.2배나 많아 빚을 갚는 것은 문제가 없다.

신제윤 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은 “한국 경제의 실상을 잘못 전달하는 보도에 대해 강력히 대응해 한국에 대한 왜곡된 정보가 퍼지는 것을 막겠다”고 말했다.

김종윤·김영훈 기자

[J-HOT]

▶ 유학간 딸에 “돌아와…” 말하다 같이 울어

▶ 우주서 본 너비 2.4km '거대 구덩이' 알고보니…

▶ 김영철 前 사무차장 "여보, 힘들어서 먼저…" 유서 발견

▶ 최홍만, 홈피에 "죽고싶다"…극심한 정신적 고통 토로

▶ 김운용 "공항 도착 후 두명에 이끌려 중정 취조실로…"

▶ 朴, 동생 결혼 불참…"찬성도 허락도 안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