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네티즌 오해 풀 공간 시급 … 한·중 자동번역 사이트도 대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양국 정부·언론이 해결 나서야”=인민일보(人民日報)의 웨이둥쩌(韋冬澤) 국제부 기자는 “양국 정부도 최근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올해 양국 정부가 관계를 강화하는 만큼 민간 관계도 같은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양국 주류 매체가 중심을 잡아 절대 사실을 왜곡 보도하지 말아야 하며 양국의 우호 교류 움직임을 더 적극 보도해 크고 작은 모순을 녹여주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퍄오젠이(朴鍵一)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 교수는 중국 내 반한 감정에 대해 “방치하면 안 된다. 이웃 간에 작은 문제를 방치하면 다른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또 “중국은 주변에 10여 개 나라가 있다. 이를 감안해서라도 반한 감정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중국 정부가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베이징대 진징이(金景一) 조선문화연구소 소장은 “중·한 관계에 문제가 생길 시점에 왔다”고 말했다. 인터넷 시대를 맞아 작은 사건이 태풍을 몰고오는 ‘나비효과’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그는 “반한 감정이란 용어에는 동의 안 한다”며 “쌍방 교류이므로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지적했다. 중국현대국제관계 치바오량(戚保良) 연구원은 “중국의 반한 정서는 그렇게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이제는 양국 모두 중시해야 할 사안”이라며 “양국 언론이 긍정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정부 차원에서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특파원을 지낸 쉬즈젠(徐知堅) 법제일보 국제부 부주임은 “미디어의 역할, 특히 인터넷 매체의 정확한 보도가 중요하다”며 “중국의 4대 발명품이 한국 것이라고 왜곡하는 보도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중 수교 16년이 되고 교류가 늘면서 마찰이나 부정적 감정이 생기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담담하게 받아들이면 정확하지 않은 사실로 인한 문제는 점차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 이해와 존중 폭 넓혀야”=서강대 이욱연 중국문화학과 교수는 “한국인의 반중 정서가 중국인의 반한 정서의 뿌리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귀국 때 한국에 대해 반감을 갖는 중국 유학생이 많다”며 “중국 유학생들이 ‘불량 식품과 싸구려 제품을 만드는 나라의 국민’이라는 모욕을 받다 보면, 중국 내 반한 감정의 뿌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에 따라 무턱대고 중국을 무시하거나 부정적으로 보는 우리의 눈부터 바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대 윤휘탁 교양학부 교수는 “한국 네티즌들이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 동포(조선족)에 대해 악담 차원의 댓글을 퍼붓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며 “중국 동포들이 한국에서 푸대접을 받고 중국에 돌아간 뒤 한국에 대해 이런저런 욕설을 늘어놓는 것도 중국의 반한 감정을 부추기는 계기 중 하나”라고 말했다. 또 “장기적으로는 네티즌이나 언론들이 중국에 대해 근거 없는 소문이나 분풀이 식의 악의적인 글을 인터넷에 올리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언론들이 중국에 대한 공포감이나 우려를 자아내는 보도를 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세대 백영서 사학과 교수는 “한국과 중국은 과거부터 ‘편의적인 오해’의 역사가 존재해 왔다”며 “중국은 한국에서 이뤄지는 것을 ‘조그만 나라가 한 것’이라며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고, 한국은 과거 중국의 거대함을 무시한 채 현대 중국의 낙후한 면만 보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서로 간의 편의적인 오해를 줄여야 장기적으로 다양한 갈등을 풀 수 있다”고 말했다.

이화여대 정재서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최근 중국 내 정서 속에는 전통 문화를 속지주의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과거의 전통 문화는 동아시아가 공유하는 자산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한국과 중국 모두 주변 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며 “각자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호혜적이면서 폭넓은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넷의 음성적인 의견 교환보다는 대규모 학술 토론회 등으로 허심탄회한 논의가 선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한 감정 풀려면 한국 전문가 제언



진징이(金景一) 베이징대 조선문화 연구소 소장

정부 간이든, 민간이든, 경제 영역이든, 문화 영역이든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통과 교류를 심화시켜야 한다. 양국은 문화 면에서 서로 가깝고 역사적으로도 긴밀하다. 구체적 문제에선 이견과 갈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럴수록 양국 국민이 이성적 태도로 문제를 다뤄야 한다. 이런 문제들이 정치문제로 비화돼서는 안 된다.

쉬젠(徐堅) 중국국제문제 연구소 연구원

인터넷 매체의 정확한 보도가 중요하다. 4대 발명품이 한국 것이라고 왜곡하는 중국 인터넷 매체의 유사한 보도를 막아야 한다. 인터넷은 전파 속도가 너무 빠르다 보니 미처 확인 없이 보도됐다. 양국에 부정적인 보도가 나오면 일단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방법이다. 부정확한 것들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쉬즈젠(徐知堅) 법제일보 국제부 부주임

양국 정부도 최근 흐름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정부 간에 서로 관계를 강화하는 만큼 민간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 그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주류층이 중심을 잡아야 한다. 양국 주류 언론들이 한·중 간 우호 교류 움직임을 더 적극 보도해야 한다. 문화계와 학술계도 자주 만나 야 한다.

웨이둥쩌(韋冬澤) 인민일보 국제부 기자

 단기적으로는 언론이나 네티즌들이 중국과 관련해 사실에 근거하지 않거나 분풀이 식의 악의적인 글을 올리지 말고, 지나친 중국 공포감과 우려를 불러오는 보도 역시 신중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한국인들의 반중 정서를 바꿔야 한다. 중국이 부상하기에 더 무시하고 비하하는 경향이 한국인에게 있다.

이욱연 서강대 중국문화학과 교수

우선 일부 중국 언론의 잘못된 한국 관련 보도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고 사과를 받아내야 한다. 그런 현상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 이런 사안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발생한 만큼 인터넷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양국 네티즌의 인터넷 만남 같은 것도 시도해볼 수 있다.

김선자 연세대 중어중문학과 강사

양국 국민이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호혜적이고 폭넓은 인식을 가져야 한다. 민간이나 학술 차원에서 양국 간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교류를 넓혀야 한다. 대규모 전문가 토론회에 대중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터넷상에서 음성적으로 악순환되고 있는 견해들에 대한 고리를 끊어야 한다.

정재서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중국인에게는 한국에 대한 종주국 의식이 있다. 조그만 나라가 잘하는 것에 대한 불편한 심리가 여기서 나온다. 중국은 이런 의식을 버려야 한다. 한국인들도 경제적으로 부진했던 중국에 대한 차별적 시각을 버려야 한다. 중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면서 굴기하는 중국의 잠재력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윤휘탁 한경대 교양학부 교수

중국인에게는 한국에 대한 종주국 의식이 있다. 조그만 나라가 잘하는 것에 대한 불편한 심리가 여기서 나온다. 중국은 이런 의식을 버려야 한다. 한국인들도 경제적으로 부진했던 중국에 대한 차별적 시각을 버려야 한다. 중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면서 굴기하는 중국의 잠재력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특별취재팀
팀장=유광종 국제부 차장
베이징=장세정·정용환 특파원
신경진 중국연구소 연구원

[J-HOT]

"中 반한감정 왜? 골프장·술집 행태 돌아보면…"

한국석사 출신 중국인 "요즘 인터넷 보기 겁나"

중국의 히딩크 김창백 감독 "中, 자존심 센 민족"

실력파 당예서에는 중국인들도 내심 즐거워했다

'혐한론' 확산…'겸따마다'로 반한 감정 넘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