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서 쇠고기 논의 말라 노 전 대통령 올 2월 MB에 말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난 2월 18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을 만난 자리에서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로 쇠고기 문제를 올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민주당 김종률 의원이 28일 전했다. 김 의원은 “지난 27일 몇몇 의원들과 함께 휴가 중인 노무현 전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듣고 메모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과 우리의 쇠고기시장 개방은 별개의 문제”라며 “이 대통령이 미 의회 지도자들과 만나 쇠고기 문제를 FTA 비준과 고리를 걸라. 미국의 동물성 사료 금지 강화 조치 이행이 쇠고기 수입 조건과 시장 개방의 전제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의원은 또 지난해 3월 29일 있은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노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도 전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은 한국의 국민 정서를 고려해 주변 국가들과 미국의 쇠고기 수입 조건 협상을 봐 가면서 균형을 맞춰 논의해 가겠다는 의지를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조 대변인은 “당시 노 대통령은 ‘쇠고기 협상은 마무리만 할 정도로 다 됐다. 다만 미국이 자동차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서명을 미루고 있다’고 했다는 게 임태희 당시 당선인 비서실장의 설명”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당 강기정·김우남 의원은 “주미 한국대사관이 미국의 동물성 사료 제한 조치 완화 내용을 미국 관보 게재일(4월 25일) 전에 외교통상부와 농림수산식품부의 관련 부서에 보고했다”며 “이를 반영하지 않은 농식품부의 5월 2일 기자회견 등은 의도적인 은폐”라고 주장했다. 또 “공문은 모두 한글 문서”라며 “영문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다는 해명도 거짓”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축산단장이 업무가 바빠 5월 16일 이후 사료 조치 완화 사실을 알게 됐다는 것이지 의도적 은폐는 아니다”고 해명했다.

◇1차 쇠고기 청문회(8월 4일) 무산=여야가 국회 쇠고기 국정조사 특위의 PD수첩 제작진에 대한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 대립하는 바람에 8월 4일 예정됐던 1차 청문회가 무산됐다. 출석 요구서 발송 시한(28일)을 넘긴 때문이다. 30일까지도 증인 채택 등 의사 일정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8월 7일로 잡혀 있는 2차 청문회도 물 건너가게 된다. 

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