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수능 마무리 학습가이드-영역별 점검요령 국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무엇보다 출제경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지난 2년간 출제된문제를 차분히 풀면서 출제유형.난이도.제재및 사고과정별 문제경향을 익혀 출제문항에 익숙해져야 한다.
교육방송의 듣기문항 연습은 「듣기」에 대비한 가장 좋은 교재다.방송을 듣기 전 미리 문제를 읽어 보고,방송을 들으면서 중요한 내용을 메모해 본다.그밖에 방송의 뉴스나 대화및 대담 프로그램등을 통해 화자의 관점.반론.내용의 종합적 이해등을 학습하는 것이 좋다.
「쓰기」는 개요작성,개요에 따른 결론추리,어법에 맞는 문장유형에 유의한다.특히 글을 쓴 뒤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관계를 반드시 검토하는 습관을 기른다.작문의 전 과정,즉 계획하기.표현하기.고쳐쓰기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국어교 과서의 「쓰기」단원을 적극 활용한다.
「읽기」는 시의 경우 국어 및 문학교과서 8종에 실린 대표적시인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시의 구조.함축적 의미.화자의 정서와태도.표현상 특징들을 정리한다.
소설은 교과서에 나온 근대 이후 작가들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표현의 특징.인물의 심리.배경과 시점등에 유의해 학습하고 특히판소리계 소설은 주제.문체.구성.인물등에 주의를 기울인다.
수필은 필자의 관점과 태도.글의 구조등이 다른 장르와 어떻게다른지 비교하며 정리한다.
신문의 칼럼이나 사설을 잘 활용하면 非문학 제재에 익숙해질 수 있다.글의 논리전개.논거.결론도출과정 등에 유의하면 효과적이다.마지막 단계로 국어 교과서의 기본원리 학습내용을 철저히 확인해 정리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