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라공부] “비문학 도서 많이 읽으면 그래프·표 분석능력 커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책꽂이 앞에서 나란히 책을 읽고 있는 어린이들. [중앙포토]

“독서란 책을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으로 독해하는 활동이 돼야 합니다.” 최근 초·중학생 독서능력 진단프로그램 ‘노명완독서종합검사(NRI)’를 개발한 고려대 국어교육과 노명완 교수(사진)의 주장이다. 독서능력과 태도를 올바로 기르는 법을 노 교수에게 들어봤다.

◇“독서능력과 태도는 상호작용해”=노 교수는 학생의 배경지식 수준과 독서능력, 태도에 맞춰 독서 지도를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독서능력은 사실적 읽기(텍스트 이해하기), 추론적 읽기(텍스트를 바탕으로 추론하기), 창의적 읽기(자유롭게 사고하기) 등의 단계로 발전합니다. 아이가 어떤 단계에 있는지 파악한 뒤 독서의 방향을 잡아줘야 합니다.”

그는 또 아이가 독서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독서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느냐에 따라 독서능력이 달라집니다. 그런 점에서 긍정적인 마음이 중요합니다. 태도가 좋으면 능력이 오르고 능력이 높아지면 태도가 향상되죠. 이는 다시 지식 습득을 유도하는 동기부여가 됩니다.”

◇“창의적 독서법 익혀야”=“참 독서는 내용 읽기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키우는 것입니다. 어릴 때부터 책 내용에 자신의 배경지식을 접목시켜 생각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노 교수는 창의적 독서를 위해서는 논리적 추론과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령 ‘병수는 급하게 도시락을 가방에 넣고 버스 정류장으로 달려갔다. 학교에 도착하니 운동장엔 아무도 없었다’라는 글을 놓고 문제를 푼다고 하자. ‘병수는 어디로 달려갔을까?’란 문제의 답은 버스정류장이다. 글에 명시된 정보를 찾는 사실적 읽기만 가능하면 맞출 수 있는 문제다.

‘병수는 어떤 방법으로 학교에 갔을까?’란 문제의 답은 버스다. 이는 글 내용엔 없지만 내용을 추론해야 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운동장엔 왜 아무도 없었을까?’란 문제의 정답은 없다.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을 뿐이다. ‘수업 중이어서’ ‘일요일이어서’ ‘소풍가는 날 지각해서’ 등이 그것. 이처럼 독자가 자신의 생각을 맘껏 표출할 수 있는 문제를 풀 듯이 평소 자유롭게 생각하는 힘과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말했다.

◇독서능력 기르는 법=노 교수는 유·초등 단계에선 독서 후 글의 목적·구성·주제 등을 파악하는 연습을 하라고 주문했다. 이 중 요약하기를 강조했다. 글의 핵심과 저자의 의도를 알아야 하며, 글에 대한 기억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주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 부모와 함께 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 활동을 제안했다. 책의 장르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예문(시, 소설 등)보다 비문예문(설명문, 논설문 등 사회과학서)을 많이 읽을 것을 권장했다.

“문예는 사회과학서처럼 지식의 폭을 넓히는 덴 효과가 적어요. 정보화 시대에서 표·그래프·수식 등 각종 도식을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려면 비문학 도서를 읽는 비중을 늘려야 합니다.”

그는 비문학 독서가 아이들의 진로·적성을 파악하는 데도 유용하다고 말한다.

“과학서를 읽다가 생물에 관심을 보이면 생물학자로, 천문에 흥미를 나타내면 천문학자로의 가능성을 키워주는 거죠. 체험학습장을 찾고 관련 전문도서를 읽는 등 견문을 넓혀주면서 적성과 진로를 모색하면 됩니다.”

글=박정식 기자 , 사진=김현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