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의 작동원리-큰사고 막아주는 안전장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요즘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어백과 함께 ABS(Anti Lock Brake System)장착자동차를 찾는 자가운전자들이 늘고 있다.
ABS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때 바퀴가 잠겨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 제동시 차의 방향이 뒤틀리는 것을 막아주고 최적의 제동거리를 유지해주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장치다.에어백과 함께 큰사고를 막아주는 중요한 안전장치다.
ABS는 바퀴의 속도를 정확히 감지하는 감지기(센서)와 전자제어장치(ECU),유압을 조절해주는 모듈레이터등으로 구성된다.
브레이크를 밟았을때 센서는 순간적으로 바퀴의 회전속도를 감지해 차량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ECU로 측정된 속도에 대한 정보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그러면 ECU는 이 속도를 계산해 적정한 유압을 모듈레이터로 보내 브레이크를 컨트롤한다 .
ABS는 바퀴의 잠김현상을 막기위해 브레이크 압력을 초당 10~20번정도로 매우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고안됐다.따라서 최적의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다.ABS가 장착된 차량은 정상적인 주행시 보통으로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다만▲매우 미끄러운 노면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때▲브레이크 페달을 힘껏 밟을 경우에만 작동한다.
ABS가 붙어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힘껏 밟을때 약간의 잡음과 진동을 느낄 수 있다.이것은 ABS가 작동할때 압력의 변화로 인해 잡음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또 순간적으로수십번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페달을 힘껏 밟을 경우 페달을 통해 미세한 진동이 느껴질 수 있다.
현재 국내에는 독일 보슈社와 미국 델파이社의 ABS기술을 도입해 ABS를 제작하고 있으나 핵심부품인 ECU등은 수입하고 있다. 주행계기판에 ABS경고등이 켜지면 ABS장치에 이상이 있음을 뜻한다.그렇더라도 기존의 브레이크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따라서 가까운 정비업소나 지정 정비공장에서 점검을 받으면 된다. 다만 ABS는 사고를 막아주는 장치가 아니라 단순한 안전장치이므로 과속이나 난폭운전은 곤란하다.
〈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