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부패와의 전쟁’ 잇따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유화선(사진左) 파주시장은 4일 “소속 공무원이 뇌물을 받은 경우 이유나 액수에 상관없이 적발 즉시 직위해제하고 형사고발한 뒤 내부 전산망에 실명을 공개한다”고 말했다. 박주원(右) 안산시장은 “인사청탁자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승진이나 주요 보직에서 제외시키겠다”는 특별지시문을 전 직원에게 보냈다.

구리시에 이어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부패와의 전쟁’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앞서 박영순 구리시장은 지난달 21일 “민원인에게서 뇌물을 받으면 금액을 불문하고 직위해제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며 “‘철밥통’을 깨겠다”고 말했다. <본지 1월 22일자 1면>

유 파주시장은 기능직을 포함한 전 공무원 1100여 명에게 ‘어떠한 경우에도 민원인으로부터 금품·향응을 받지 않겠다’는 청렴서약서를 받도록 했다. 감사 부서에는 공사 계약관리 도우미센터와 청렴 모니터실, 부조리 신고센터를 설치해 상시 감시 시스템을 가동하고, 13개 읍·면·동별로 시민 명예감사관을 ‘청렴 모니터’로 활용하기로 했다. 감사부서 직원 12명은 설 특별감찰에 돌입했다.

유 시장은 “금품수수 사실을 신고할 경우 지급하는 상금을 수수액의 10배에서 20배로 높여 최고 2000만원까지 줄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청렴위가 발표한 지난해 전국 197개 기초 지자체의 청렴도 조사에서 상위권(32등)을 차지한 데 만족하지 않고 올해는 청렴도 1위를 목표로 부패 척결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박 안산시장은 “인사를 앞두고 정치인이나 각급 기관장 및 단체장을 통한 청탁이 들어오고 있다”며 청탁자에 대한 불이익을 경고했다. 안산시는 15일 조직개편과 함께 4급(서기관) 3자리, 5급(사무관) 7∼8자리를 포함하는 대규모 승진 및 보직 인사를 실시한다.

박 시장은 “공무원 부패에 대한 내부 고발과 시민 신고를 유도하기 위해 공무원 부조리 신고 포상금을 강화하는 내용의 조례도 곧 제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신고금액의 두 배를 포상금으로 줬으나 이를 크게 늘리겠다는 것이다.

지난해엔 한전·수자원공사 등 40개 기관이 참여하는 안산투명사회협약을 체결하고 실천협의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안산시는 2005년 청렴도 측정에서 전국 325개 공공기관 중 꼴찌, 2006년엔 304개 중 301등을 차지했으며, 지난해에는 333개 중 219등을 차지했다. 

파주·안산=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