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쇼의 힘은 ‘진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6호 19면

‘영화 홍보로 변질된 오락프로’들을 개탄하던 목소리가 높았던 때가 있었다. 홍보 의도가 뻔한 배우가 뻔한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는 오락프로는 ‘홍보’가 문제가 아니라 재미가 없어서 싫었다. 이 방송 저 방송 돌아다니며 ‘어쩔 수 없이 한다’는 표정으로 이런저런 게임을 하는 배우들을 보면 출연자에 대한 선택권이 없는 시청자들도 ‘어쩔 수 없이 본다’는 심정이 들었다. SBS 집단토크쇼 ‘야심만만’이 영화 홍보의 최적의 장이었던 것은 영화와 관련된 주제를 꺼내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는 편안함으로 출연자나 시청자에게 부담을 덜 줬기 때문이다.

이윤정의 TV 뒤집기

‘야심만만’이 퇴장한 지금, 토크형 오락 프로그램의 최강자가 된 MBC ‘무릎팍 도사’는 영화 홍보로 ‘변질’된 오락프로가 아니라 영화 홍보 방식을 ‘변화’시키며 스스로 진화하고 있는 토크쇼라 할 수 있다. 토크쇼를 보면서 시청자들이 느끼고 싶은 감정은 ‘저 사람과 내가 이야기를 나누었다’는 느낌일 것이다.

이야기를 나눈다는 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를 알게 되는 과정이다. ‘무릎팍 도사’가 한 걸음 앞서가는 까닭은 출연자의 ‘캐릭터’를 손에 잡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무수한 토크쇼에서 ‘개인기’를 선보이고, ‘게임’에서 열심히 몸을 움직이고, 깜짝 놀랄 만한 ‘에피소드’를 공개하는 걸로는 도저히 알 수 없는 그 사람만의 고유한 캐릭터가 ‘무릎팍 도사’에서는 술술 풀려 나온다.

배우 황정민이 출연하고 난 뒤 “순진한 촌놈인 줄 알았더니 똘끼도 있고 깡도 있네” 하는 댓글이 달리는 것처럼, 표면의 이미지 속에 숨어 있는 그 사람의 살아온 내력·인생관·성격을 알게 해주는 매력이 ‘무릎팍 도사’에는 있다.

그런 방식으로 만난 박세리의 덜렁거리는 성격, 한예슬의 거부할 수 없는 애교, 문소리와 장영주의 털털함 등은 시청자에게 새롭게 다가왔다. 이 ‘리얼 캐릭터 토크쇼’의 힘은 딱히 이런저런 ‘코너’를 만드는 대신 대화에 집중하게 하는 무정형의 포맷에도 있고, 누구나 자신 있고 가장 간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살아온 이야기’와 ‘소중한 자신만의 꿈’ 같은 주제를 다루는 콘텐트에도 있다.

그래서 ‘스캔들 메이커들의 변명의 장’이 될 뻔한 위기를 넘긴 ‘무릎팍 도사’는 자기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욕심쟁이(우후훗!)’들이 영감을 던지는 ‘성공학/인생학 개론’으로 진화해 나가고 있다.


이윤정씨는 영화 제작자로 활약한 문화통으로 문화를 꼭꼭 씹어 쉬운 글로 풀어내는 재주꾼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