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3 전면改閣 民正약진 民主系 일단 후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권력의 창업과 수성은 다른 것인가」-.
당내 민정계의 약진과 민주계의 퇴조로 대비되는 12.23개각을 놓고 민자당의원들이 갖는 의문이다.개혁의 수성을 위해 세계화와 국정의 안정성을 선택하면서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측근그룹인 민주계가 밀려났기 때문이다.
이번 개각에서 민주계의 전진 배치는 사라졌고 그 자리를 민정계의 김윤환(金潤煥.군위-선산)정무1.김용태(金瑢泰.대구북)내무.김중위(金重緯.서울강동갑)환경처장관이 메웠다.이들은 92년민자당의 대통령후보 경쟁때 친(親)YS쪽을 주도했다.
민주계로 유일한 서석재(徐錫宰)총무처장관의 임명은 계파적 차원으로 보기 힘들다.동해시 보궐선거사건후 5년여만에 본격 이뤄지는 그의 정치적 재기를 위한 배려의 성격이 짙다.정치 2선에있을때 徐장관 자신도 민주계의 이해보다 탈(脫) 계파에 의한 범여권 포용을 주장했다.
청와대 김정남(金正男)교문수석의 퇴진도 그의 이념적 성향에 대한 민정계의 비판을 金대통령이 수용한 것으로 민자당의원들은 받아들이고 있다.金수석과 민주계인 김덕룡(金德龍.서울 서초을)의원은 정치적 신념이나 현정권의 장기구상측면이 비 슷하다.
이런 현상을 민주계 원로인 김명윤(金命潤)평통수석부의장은『金대통령은 민정계니 민주계니 하는 계파적 관심에서 오래전에 벗어났다』고 분석했다.
이번 인사에는 金대통령이 말한 대로 과거를 불문하고 적재적소에 인물을 배치하려는 흔적이 두드러진다.이는 불가피하게 인사의계파적 접근과는 거리를 둘수 밖에 없는 대목들이다.
익명을 부탁한 민정계의 한 의원은『올해 각종 대형사건사고로 인해 겪고있는 정권의「효율성 위기」를 여권(與圈)전체의 총체적역량결집으로 돌파하려는 것』이라면서『그런 흐름이 정권의 수성기인 임기 중반기의 흐름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이런 흐름은 내년 2월 민자당 전당대회에 어떻게 연결될 것인가.당정이 金대통령을 뒷받침하는 두개의 수레바퀴라고 볼때 전당대회에도 그런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는게 당내의 우세한 분석이다. 이번 개각이 개혁과 현상유지라는 두개의 노선중 金대통령이 현상유지쪽을 선택한 것이라 할때 당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얘기다.이는 김종필(金鍾泌)대표체제의 유지를 의미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당직자는『그동안 당이 극우에서 극좌의 인물까지 끌어들이다 보니 지지기반이 불투명했다.정권의 안정적인 모습을 과시하려는 이번 개각과 같은 양상이 당에도 나타날 것이며이는 金대표의 유임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단 정했다.
이런 관측에는 정치핵심에 복귀한 김윤환의원의 정무장관임명이 내년 2월전당대회를 앞둔 사전 교통정리와 관련이 있다는 판단이깔려있다.이 당직자는『金의원의 기용은 당내 질서에 균형을 취하기 위해서다.전당대회때 金장관의 거취에 부담을 느낀 金대통령이미리 교통정리했다고 할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정치결정 과정에 공식적으로 깊숙이 개입할 수 있는 김윤환장관의 등장으로 전당대회에 어떤 변화가 시도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金장관은 민주계 좌장인 최형우(崔炯佑)의원과 마찬가지로 당의 분위기 쇄신을 강조하고 있다.이런 주장의 최종목표는 JP체제의 후퇴다.
崔의원도 어떤 형태로든 당의 중심 복귀와 영향력유지를 노릴것이다.여기에는 민주계가 당3역등 요직에 상당부분 포진할 것이며실질적인 당운영을 민주계가 맡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곁들여지고 있다.이런 상반된 관측은 내년들어 본격적으로 등 장할 것이다.
〈朴普均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