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저를찾아서>12."남성과 여성" 마거릿 미드著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미국 인류학의 개척자 가운데 한사람으로 평가받는 마거릿 미드의 역저『남성과 여성』은 사례수집을 위한 그녀의 오랜 현장조사와 사색의 결과가 농축되어 있는 책이다.이 책은 4부 17장으로 구성되었으며 3개의 부록이 삽입되어 있다.1부 에서는 이 책이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인류학자인 미드가 어떻게 현지 연구를 하고 글을 쓰게 되었는가를 기술하고 있다. 드는 1부에서 20세기에 들어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우리의 기존 생각들이 많이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그러나 여성과남성이 과연 어떻게 변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사람들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한다.인간의 미래는 인간이 가 진 가능성과 한계성을 정확히 아는데 달려 있다.
남성과 여성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적인 환경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아는 것은 현실적으로 시급한 문제다.
이것은 총체적이고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2부는 「신체의 방식」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인간의 신체에 있어서 양성간의 차이와 유사점들이우리가 자신의 성을 인식하고 또한 이성과 관계를 맺는 기반이라는 점을 강조한다.신체에 대한 이야기를 드러내놓 고 하는 것은점잖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서구문명사회와는 달리 옷을 별로 입지않고 사는 미개인사회에서는 남녀의 신체적인 특성이 자연스럽게 언급된다.
미개사회에서 남성과 여성들은 출산과 출산에 있어서의 양성(兩性)의 역할을 문화적으로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성적 정체성(正體性)에 대해 느끼는 태도도 다르다.
미드는 임신과 출산에 대한 문화적인 이해에 따라 양성의 역할이 어떻게 이해되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자신이 현지답사를 한 태평양지역 7개 사회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자신의 성에 대한 인식은 회임(懷妊)에서부터 시작되어 출산.수유.어 린이의 성심리 발달과정을 통해 나타난다.
유과정에서 정성 어린 돌봄을 받는 어린이는 균형 있는 성격을가지게 되는 반면 거칠고 임의적인 취급을 받는 어린이는 도전적이고 공격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
수유와 성심리 발달과정은 아이들이 커서 이성을 대하는 태도에도 영향을 미친다.예컨대 안정적이고 의존적인 관계를 가진 사모아인들은 남녀관계에서 적응을 잘한다.
그러나 아주 배가 고픈 상태에서만 젖을 얻어먹고 오이디푸스적갈등을 가지게 될 나이가 되면 이웃마을로 내보내지는 등 부모로부터 함부로 취급을 받은 문두구머의 어린이는 나중에 어른이 되면 이성에 대해서도 경쟁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를 가진다.
문두구머 어린이들은 자식을 낳고 키우는 것을 아주 싫어하는 사람들이 된다.
성과 기질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사람은 모두 양성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어떤 사람은 더 남성적인 성향을 보이고 어떤사람은 더 여성적인 성향을 가진다.만일 사회에서 어느 기질을 특정 성과 연관시킨다면 한 사람 안에 있는 다른 기질은 억압을받게 된다.
그렇게 될 때 사람들은 타고난 기질과 역할 사이에서 갈등을 느낀다.미래에는 남자 여자 모두가 자신의 신체와 이성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3부는 4장으로 되어 있으며 인간이 어떻게 양성과 관련된 노동을 발전시켰는가를 이야기한다.여성은 임신과 출산에 얽매여 있기 때문에 격렬한 노동보다는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노동에 주력해왔다. 남성은 임신과 출산의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과 자녀를 부양하는 일을 맡게 된다.때로 부양의 책임은 남편이 아닌 아버지나 오빠 등에게 맡겨진다.남자는 가족을 부양하는 일 외에도 문명을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부양자로서 아버지의 역할은 물론 생태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다.출산자로서 여성의 역할도 마찬가지다.
출산자로서 여성의 역할을 비하하거나 부정하는 사회에서 여성은출산에 관심을 갖지 않게 될 것이다.미드는 문두구머사회처럼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일을 싫어하는 사회는 사회 자체의 존속을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4부는 7장으로 되어 있으며 미국사회에서의 양성관계,구혼과 결혼,그리고 결혼생활의 갈등 등을 다룬다.1차적으로 신체를 통해 외부와 접촉하고 자신의 성적 정체감을 알아 가는 미개사회와는 달리 미국사회에서 태어나는 아이들과 성인들의 신체적인 접촉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산모는 아이를 병원에서 출산하고 산모와아이의 접촉은 의사와 간호사가 지정한 시간에만 이루어진다.모유보다는 분유를 먹이므로 어머니와 아이의 신체적인 접촉도 제한된다. 미국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은 신체적인 특징에 의해 그들의 성적 정체감이 정해지지 않는다.
***부 모는 딸과 아들을 크게 구분하지 않으며 자식들이 얼마나 부모가 요구하는 것을 잘 수행하느냐 하는 성취도에 따라 아이들을 대한다.
여자아이나 남자아이 모두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내며 바른 생활태도를 보일 것을 요구한다.이들은 모두 경쟁적이고 성취지향적이 된다.
미드에 의하면 성취지향적인 미국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은 모두 갈등을 느낀다.가족을 위해 일을 하고 돈을 버는 것이 남자의 일로 간주되는 사회에서 아버지는 자신의 남성다움을 유지하는데 심한 긴장을 느낀다.
여성은 여성대로 온종일 하는 일 없이 「집을 지키고」있는 일에 갈등을 느낀다.여성들은 남성처럼 바깥에서 경쟁하기를 원한다.결혼한 여성은 일을 하기 위해 이혼을 하고 결혼하지 않은 여성은 결혼을 하고 집에 안주하기를 거부한다.가족을 원하기보다는남성과 같이 사회적인 성취를 원하는 여성들이 증가한다.사회 참여를 원하는 여성들은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지 않으며 남녀간의성별 차이가 없음을 주장한다.이들에게 성별 차이는 곧 여성의 열등함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드는 남성과 여성 사이의 차이를 무시하고 남성들의 경쟁게임에 여성이 몰려 들어가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을 것이라고 우려한다.남성과 여성은 신체 구조상 차이가 있으며 이신체구조에 의해 경험되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살려져야 한다는것이다.중요한 것은 남성과 여성의 경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조화를 이룰 것인가 하는 것이다.
尹炯淑〈木浦大 고고인류학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