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민간교류 두 주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부 간의 공식 협상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라도 민간이 나서면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다. 이런 맥락에서 양원창(楊文昌.63) 중국 인민외교학회 회장과 김한규(67) 21세기 한.중 교류협회 회장은 양국 관계에서의 '민간 외교 사령관'이랄 수 있다. 한.중 간 주요 민간 인사들의 꾸준한 교류를 주도해 양국 간의 우의를 높이면서 갈등을 줄이는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외교관들의 등용문인 베이징(北京)외국어학원을 졸업한 양 회장은 서방통이다. 프랑스대사관 참사관을 거쳐 싱가포르 대사와 외교부 본부대사, 외교부 부부장을 거친 뒤 홍콩특파원 공서(公署)의 특파원(일종의 본국 감독관)을 마지막으로 현직에서 은퇴했다. 빼어난 영어 실력에다 강한 친화력을 갖췄다.

양 회장이 이끄는 인민외교학회는 '제2의 외교부'로 불린다. 1949년 12월 만들어졌다. 민간단체의 신분이지만 외교부가 할 수 없는 일을 해내고 있다. 주요 기능은 세계 각국의 전직 대통령.총리.국회의장, 장.차관과 저명 학자 및 연구기관.사회단체 등과의 꾸준한 교류다. 중국 정부는 이 외교학회를 통해 민간 외교를 사실상 관리하고 있다.

총무처 장관과 13, 14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한규 회장은 15년 전 중국과의 수교를 위해 막후에서 맹활약한 한국의 대표적인 중국통이다. 지난 5년간 무려 260여 회나 중국을 찾았다. 지금까지 예방한 고위인사 가운데는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을 비롯해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톈지윈(田紀雲) 전 전인대 부위원장 등 주요 인사들이 망라돼 있다.

한.중교류협회는 2000년 11월 주룽지(朱鎔基) 당시 중국 총리의 서울 방문을 계기로 만들어졌다. 주 총리의 지시로 인민외교학회는 김 장관이 이끄는 교류협회와 정식으로 자매결연을 한 뒤 다양한 교류 활동을 벌여 왔다.

베이징=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