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무소 '구조조정'… 서울시, 100여 곳 줄여 보육시설 등 활용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서울시가 주민 수가 줄어들어 공무원 인력이 남아도는 동사무소들의 통폐합에 나선다. 감축하는 동사무소 수는 100곳 정도다. 서울의 전체 동사무소 518곳 중 5분의 1가량을 줄이는 것이다. 문을 닫은 동사무소들은 영.유아 보육시설, 도서관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9일 오전 25개 자치구의 행정관리국장들을 불러들여 권영규 행정국장 주재로 시-자치구 합동회의를 열었다. 권 국장은 이 자리에서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치구별 여건에 따라 동사무소 통폐합이 가능한 곳이 있으면 추진했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자치구들에 전달했다. 또 10일 오전 서울시가 마련한 동사무소 통폐합 가이드라인을 오세훈 시장이 직접 발표한다.

서울시 최항도 대변인은 "감축하는 동사무소는 주민 수가 적은 곳이 우선 대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종로.중구 등 도심의 동사무소들은 주민 수는 적지만 호적을 두고 있는 사람이 많아 그에 따른 행정 수요가 적지 않기 때문에 주민 수가 일괄적인 감축 기준이 되지는 않는다. 업무용 빌딩이 몰려 있어 행정 수요가 많은 동사무소도 감축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최 대변인은 "각 구청장들이 행정 수요.환경 등을 고려해 통폐합 동사무소들을 선정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는 자치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동사무소 통폐합에 적극적인 자치구에는 교부금을 많이 내려보내는 등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또 문을 닫은 동사무소를 보육.복지시설, 도서관 등으로 리모델링할 때 실비를 지원해 주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전문기관의 연구 용역을 거쳐 추가 감축을 통해 동사무소를 더 광역화하는 게 가능한지, 동사무소 조직을 완전 폐지하는 게 가능한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1950년대 도입된 자치구-동사무소의 행정체계가 근본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서울시에서는 마포구가 올 들어 24곳이던 동사무소 중 4곳을 없애 20곳으로 줄인 데 이어 이달 들어 동사무소 5곳을 하나로 묶어 '타운'으로 지칭하고 동사무소 업무를 대체하는 현장행정 지원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신준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