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국제경쟁력 약화/선진국 기술의 60% 수준/건설기술연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기술수준의 열세에 따른 국제경쟁력의 상실은 제조업만의 문제가 아니며 건설업의 경우 오히려 더 심각한 것으로 지적됐다.
건설부산하 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전 산업의 연구개발투자총액중 건설관련 투자 비중은 2.8%에 불과하다.
민간부문의 경우 90개 주요 건설업체의 지난해 기술개발투자 총액은 1천8백억원에 그쳐 국내 타산업 분야의 1개 민간연구소수준(삼성전자연구소 4천6백억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공공부문에서도 ▲지난해 정부의 과학기술부문예산 1조2천1백60억원중 건설관련 예산은 1.1%에 불과했고 ▲건설부 산하 공사들의 기술개발투자비는 매출액 대비 1.1%에 그쳐 타부처산하 공사(매출액 대비 평균 1.78%)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와 관련,국내 건설업계의 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시공분야는 70%,설계·엔지니어링분야는 60%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연구원은 분석했다.
또 건설협회가 국내 50개 상위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32개 공사 종류(공종) 가운데 시공분야에서는 8개 공종만이,설계 분야에서는 2개 공종만이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80년대 초반 해외건설 수주 실적 세계 2위에서 7∼8위권까지 밀려난 것은 중동경기의 퇴조외에 국내 업계의 낙후돼 있는 기술수준도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건설부는 특히 94년 이후 우리 건설시장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향상이 시급하다고 보고 입찰·면허·품셈등 각종 제도를 일제정비키로 했다.
이재명건설부제2차관보는 이와 관련,8일 건설기술연구원이 주최한 「건설기술발전방향」 주제의 심포지엄에서 『가격보다 기술·시공능력이 위주가 되도록 입찰제도를 전면 개선하고 기술용역제도도 최우수 기술보유 업체가 용역사업을 맡을 수 있도록 선기술 후가격심사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