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맛에 택시 타는 사람 많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공공교통수단 중 버스의 수송 분담률은 매년 줄어드는데 비해 택시는 분담률이 늘어나 택시를 고급 교통 수단으로 정상화한다는 정부 시책이 빗나가고 있음을 드러냈다.
14일 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교통수단 이용객 1백45억5천9백72만1천여명 중 시내 버스가 68억5백90만5천여명으로 46·7%, 택시가 51억3천8백12만4천여명으로 35·3%, 지하철·전철이 16억9천8백69만2천여명으로 11·7%로 집계됐다.
이는 90년과 비교할 때 시내버스의 경우는 분담률이 50·9%에서 4·2%가 줄어들었으나 택시는 31·9%로 3·4%, 지하철·전철은 9·9%로 1·8%가 각각 늘어난 것이며 86년과 비교하면 시내 버스는 무려 9·8%가 줄어든 반면 택시는 6·8%, 지하철·전철은 4·7%가 늘었다.
특히 한국생산성본부가 최근 전국 6대 도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택시 소비자 조사 (8백92명) 결과 응답자의 44·6%가 「서비스가 부족하더라도 현행 요금의 택시」를 선호, 현재의 택시가 출퇴근용 등 본래 기능과는 거리가 있는 대중 교통 수단으로 고착돼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돼 전반적인 공공교통수단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지난해 접수된 교통 불편 신고는 택시가 2만7천7백77건으로 시내 버스의 1만3천7백71건보다 무려 2배 이상 많아 이용자들의 택시에 대한 불만도를 나타냈다.
한편 전국 택시 운송 사업 조합 연합회는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택시의 하루 주행거리가 88년의 4백73km에서 지난해 4백1km로 15·2%, 영업거리는 4백4km에서 3백12km로 22·8%가 줄어 승차 거부·합승·난폭 운전·택시 교통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정종환 교통부 도시교통국장은 『국민 소득이 늘면서 자가용의 급증으로 교통 체증이 심화되면서 공공교통 중 버스의 수송 분담율이 줄어들고 전철의 이용이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지만 택시 수송율이 늘어나는 것은 운송 체계나 교통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며 『특히 택시 기능을 되살리면서 승객들의 다양한 필요에 맞추기 위해서는 고급 택시의 도입과 함께 어느 정도의 요금 인상으로 업계의 경영난을 덜어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택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