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 침해 악용될까 섬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첨단 장비 동원한 선거 운동이 사생활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중앙일보 2월 9일자 (일부지방 20일자) 23면 기사를 읽고 생각나는 일이 있어서 펜을 들었다.
기사에 따르면 여권 후보 일부의 경우 국가 행정 전산망으로부터 70여가지의 개인별 정보를 제공받아 선거 운동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며칠전 전세계 10여개 언어로 발행되고 있다는 어느 잡지사에서 정기 구독을 권유하는 전화가 왔다. 처음에는 그 잡지사에서 어떻게 내 이름과 전화번호를 알고 전화했는지 궁금했다.
그런데 대학 때 ○○어를 전공하셨으니 ○○어판을 구독하시라는 소리를 듣고는 깜짝 놀랐다. 책을 보내달라고 했더니 집 주소를 대면서 맞느냐고 확인까지 하는데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을 지경이었다. 일개 잡지사에서 이렇게 세세한 개인정보를 파악할 정도이니 여권 후보들이야 오죽하겠는가. 그들이 「기득권」을 활용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
선거 운동이나 잡지 구독 권유 등을 위해 개인 정보를 빼내 활용하는 것은 단순한 사생활 침해를 넘어서 좋지 않은 일에 악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문제는 심각하다.
정부는 더 늦기 전에 개인 정보의 누출 및 악용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충분히 강구해야 할 것이다. 황영선 <서울 양천구 목2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