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외교장관 "북 핵프로그램 불능화 이행 땐 경수로 재개 논의 가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송민순(사진) 외교통상부 장관은 8일 "북한이 핵 프로그램의 불능화를 이행하면 경수로 사업 재개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6자회담 참가국의 고위 당국자 가운데 중단된 북한의 신포 경수로 사업의 논의 재개 시점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송 장관이 처음이다.

송 장관은 한겨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초기 조치가 이행되면 핵 시설의 불능화와 핵물질.핵무기 폐기 두 단계가 남는다"며 "핵 폐기의 초기 단계인 불능화 때부터 경수로 제공 문제가 자연스럽게 의제로 논의될 수 있다는 게 한.미.일.중.러 5개국의 공통 인식"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비핵화와 남북 관계 연계성에 대해 송 장관은 "북핵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남북 관계가 앞으로 갈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HEU) 문제와 관련, 그는 "북한에 HEU가 있다는 얘기를 들어보지 못했다"며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이라는 표현이 적절한데, 농축 우라늄 생산 구상을 그려봐도 프로그램이고 원심분리기를 돌려도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북.미 관계 정상화와 관련, 그는 "비핵화가 돌이킬 수 없는 시점으로 가면 북.미 관계 정상화와 평화체제도 속도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핵 시설 불능화와 그에 상응하는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대적성국 교역법 적용 중지 등 (북.미) 관계 정상화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맞춰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송 장관은 "6개국 외무장관 회담은 6자회담의 운영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말해 6자회담의 틀 속에서 북.미 외무장관 회담이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북.미 외무장관 회담이 성사될 경우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외무상은 사망으로 공석)이 다음달 베이징에서 만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용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