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정병원 협력여부가 열쇠|내달시행 새 응급의료체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응급환자가 언제 어디서라도 즉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된다.
보사부는 응급의료 통신망 구축을 위해 이미 전용 전신 주파·전화회선을 확보, 무선 중계국 설치 등 마무리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응급의료체계 시행 두 주일을 앞두고 보사부의 추진현황·운영방법·문제점 등을 알아본다.
◇추진현황=산업화·도시화에 따라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손상·중독·급성질병의 증가로 인해 응급환자 수가 하루평균 8천7백여 명에 이르는 등 응급의료 수요가 급증했다.
보사부는 지난해 12월 서울·인천·수원·춘천·청주·대전·전주·광주·대구·부산·제주 등 전국 11군데에 응급환자 정보센터를 설치, 이를 대한적십자사가 운영토록 하는 등 세부계획을 확정했었다.
현재 이들 정보센터의 무선통신을 위한 22개 중계국 설치가 막바지 단계에 와있고 전국 2백28개 병원이 응급의료 전문병원으로 지정됐다.
또 신고전용 129번 전화를 확보했으며 환자수송을 위해 기존의 119구급대(1백15개 소방서 구급차 2백7대)와 한국인명구조단(53개 지부 구급차 1백3대)도 활용하는 한편 도서·산간벽지·고속도로 등의 응급환자수송에는 군·경 헬기를 투입키로 했다.
◇운영방법=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환자 또는 가족이 129번 전화로 환자의 상태와 위치 등을 신고한다.
이를 접수받은 응급환자정보센터에서는 즉시 가까운 병원에 연락, 구급차를 출동시키거나 무선으로 구급차를 동원토록 해 현장에 출동시킨다. 구급차에는 간호사·간호조무사 등 의료요원 1인이 동승해 무선으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후송·구조·간단한 응급처치 등을 한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가 위급하지 않고 야간·휴일 등의 외래수준인 경우에는 병원을 안내해주고 환자의 상대가 위급하더라도 이송형태에 따라 질병이 악화될 우려가 없을 때는 가족이 후송토록 한 뒤 병원에 연락, 도착즉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문제점=129번 신고 전화는 지역통화권역(DDD)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센터가 설치된 도시지역은 별다른 불편이 없지만 중소도시나 농어촌지역에서는 가장 가까운 정보센터의 지역번호를 먼저 돌려야 한다. 때문에 특수전화로서의 기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주민들에게 먼 곳에 전화 건다는 인식을 주게돼 이의 이용을 기피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종합병원 응급실의 경우 입원실을 구하지 못한 환자들이 입원대기실로 이용하는 등 현재도 진료가 불가능할 만큼 초만원 상태라는 점이다. 특히 응급환자의 특성상 무연고·무의탁자가 많아 진료비 시비마저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큰 병원에서 응급의료체계 활용을 기피하거나 소극적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설·인력·장비보강 등 응급의료지정병원의 자체노력이 응급의료체계 정착의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진료비 보상문제 해결을 위한 응급의료기금의 설치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응급의료병원에 대한 투자를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신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