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글로벌 전문가로 키우려면 "병역·취업 혜택 줘서 국가 자산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그래픽 크게보기

◆IT 비중 키우고 유인책 늘려야=초기 해외 활동이 한국어 교육이나 태권도 등에 집중됐다면 근래에는 우리가 두각을 나타내는 IT 쪽 비중이 커지고 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박원근 단장은 "요즘 국제회의에 가 보면 국가 간 정보격차 해소가 큰 이슈"라며 "IT 청년단은 경제적.외교적 전략 무대인 제3세계와 미개발국에 'IT 코리아'를 알리는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청년단 규모를 1만 명까지 늘릴 수 있다는 점은 미국의 경험에 비춰 본 것이다. 미국의 '평화봉사단' 초기(1966년) 인원이 52개국 1만 명 수준이었다. 당시의 미국과 오늘날 우리나라의 국력을 비교해 볼 때 합당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유인책도 필요하다. 해외활동을 마친 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미국의 평화봉사단과 일본의 국제협력기구(JICA) 봉사단은 활동을 사회 경력으로 정식 인정받고 상급학교 진학 때 장학금도 받는다. '봉사단'이란 명칭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국해외봉사단원연합회(KOVA)의 이선무 사무국장은 "해외에서 장기간 '봉사'활동을 했다고 하면 일부 기업들은 뭔가 부족하다고 여기는 분위기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의 박재한 행정원은 "대학마다 제각각인 봉사활동 학점 인정 기준을 통일하고 이를 위한 인증제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예산 확충과 체계적 관리 시급=정부가 IT 해외청년단 1만 명을 키우려면 별도 예산이 필요하다. 외교통상부는 지난해 중장기 해외봉사단을 보내고 유지하는 데 400억원을 썼다. 산하 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 추산으론 해외 청년단 한 명을 1년간 내보내는데 훈련 및 관리 비용을 포함해 약 2100만원(2만2500달러)이 든다. 2년 이상의 중장기 청년단 파견 인원을 연간 5000명 수준으로 늘리면 연간 1만 명 정도가 해외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때 예산은 연간 2100억원으로 추산된다. 청년단을 늘리면 국제사회 공헌을 더하는 효과도 크다. 한국은 2005년 국민소득(GNI)의 0.1%를 공적개발원조(ODA)로 해외에 지원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라는 오명을 들어야 했다.

IT 해외 청년단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국가적 시스템도 필요하다. 서울대 행정대학원의 이승종 교수는 "해외 협력단을 파견하는 기관들이 연계하고, 관련 정보를 교류하는 통합 조정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통상부.정보통신부.교육인적자원부 등의 봉사단은 물론 일부 대학이나 일부 대기업이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민간기구의 관련 정보까지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중앙일보는 관련 부처와 시민단체.재계 등과 IT 협력단 운동과 관련된 네트워크 구축 등에 힘쓸 계획이다.

특별취재팀=홍승일(팀장)·이원호·김원배(경제부문), 최원기(국제부문), 김민석·이가영(정치부문) 기자, 신창운 여론조사 전문기자, 베이징=유광종, 카이로=서정민, 워싱턴=강찬호,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