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산재예방 대폭 강화/1천5백억 시설 융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유해업소 특수건강진단 연 4회 실시/노동부 6개년계획
정부는 날로 늘어나는 산업재해를 막기위해 산재예방사업을 강화,올해부터 96년까지 모두 4천4백31억원을 들여 현재 1.71%인 산업재해율을 96년에는 선진국 수준인 0.93%로,사망재해율은 현재 2.75%에서 96년에는 1.5%로 크게 줄일 계획이다.
노동부는 12일 앞으로 산업재해를 막고 인명중시의 산업풍토를 정착시키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제1차 「산업재해 예방 6개년계획」(91∼96년)을 마련,산업안전보건정책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 발표했다.
노동부는 이 계획에서 기업의 자율적 재해예방 활동을 위해 산재취약사업장에 대해 재해시설 융자금 1천5백억원을 지원하고 사업장마다 실정에 따라 안전부·과·계 등 산업안전담당 부서를 두도록 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재해예방을 위해 국가의 안전보건 진단대상 업체를 현재 4백곳에서 4천곳으로 확대하고 이 기간중 해마다 2만3천9백명씩의 산업보건 전문인력을 양성해 96년까지 9만8천5백명을 각 사업장에 배치키로 했다.
노동부는 또 작업환경 개선 및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해 연 1회씩 실시해온 유해물질 취급사업장의 특수건강진단을 연 1∼4회씩 확대실시하고 신규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 조사를 강화,제조금지 조치 또는 유해성물질 표시 등 관리를 철저히 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위험기계·설비의 안전성을 높이도록 프레스등 위험설비·기계를 설치할 때 각종 안전장치 부착을 의무화하고 기술적 안전평가제도를 실시키로 했다.
노동부는 이 계획의 일환으로 올해는 재해다발업체·직업병요인업체 등 안전보건 취약업체 4천4백20개 사업장을 선정,집중 관리하고 건설현장 7백개소,화학·화약류업체 94개,중금속 및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3백개소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