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75세네요" 안락사 권하는 국가…日 때린 영화에 韓도 아픈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화 '플랜 75'는 75세 이상 고령자가 '죽음'을 국가에 신청하면 정부가 시행해주는 '플랜 75'라는 제도가 도입된 근미래의 일본이 배경이다. 남편과 사별 후 가족 없이 살아가는 78세 주인공 미치(바이쇼 치에코)는 호텔 청소일에서 강제 은퇴당한 뒤 일을 주는 곳이 없자, 사회 분위기에 떠밀리듯 플랜 75를 신청하게 된다. 사진 찬란

영화 '플랜 75'는 75세 이상 고령자가 '죽음'을 국가에 신청하면 정부가 시행해주는 '플랜 75'라는 제도가 도입된 근미래의 일본이 배경이다. 남편과 사별 후 가족 없이 살아가는 78세 주인공 미치(바이쇼 치에코)는 호텔 청소일에서 강제 은퇴당한 뒤 일을 주는 곳이 없자, 사회 분위기에 떠밀리듯 플랜 75를 신청하게 된다. 사진 찬란

“넘쳐 나는 노인이 나라 재정을 압박하고 그 피해는 전부 청년이 받는다. 노인들도 더는 사회에 폐 끼치기 싫을 것이다.”
일본 영화 ‘플랜 75’(7일 개봉)의 첫 장면, 노인들을 무차별 살해한 젊은 남성은 자살을 하며 이같은 유언을 남긴다. 이런 노인 혐오 범죄에 응답하듯 일본 국회는 ‘75세 이상 고령자가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지원’하는 안락사 제도 ‘플랜(Plan) 75’를 통과시킨다.
제75회 칸 국제영화제(2022) 황금카메라특별언급상(신인감독상)을 받은 ‘플랜 75’의 충격적인 일본 미래상이다. 남편과 사별하고 가족 없이 사는 78세 미치(바이쇼 치에코)는 호텔 청소 일을 강제로 그만두게 되면서 플랜 75 가입을 고민한다. 미치의 사연을 중심으로, 친척의 신청서를 받게 된 플랜 75팀의 젊은 공무원 히로무(이소무라 하야토), 안락사 시설에서 일하는 필리핀 이주노동자 마리아(스테파니 아리안)를 통해 노인 안락사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담았다.

7일 개봉 영화 '플랜 75' #칸영화제 신인감독상 #초고령 일본 근미래 그려 #75세 이상 국가가 안락사

초고령화 일본 간병시설 부족, 남 일 아냐 

영화 '플랜 75' 개봉(7일) 전인 지난달 30일 내한한 하야카와 치에 감독을 서울 마포구 북카페에서 만났다. 사진 찬란

영화 '플랜 75' 개봉(7일) 전인 지난달 30일 내한한 하야카와 치에 감독을 서울 마포구 북카페에서 만났다. 사진 찬란

‘초고령화’ 현상(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 이상)의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일본 사회의 공포가 영화 속에 짙게 배있다. 고령화‧인구감소 쇼크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도 남의 일이 아니다. 최근 내한한 하야카와 치에(48) 감독은 “고령자도 행복할 권리가 있고 정부는 ‘모두의 인권’을 보호할 의무가 있지만, 영화에선 정부가 오히려 ‘모두의 인권’을 핑계로 고령 약자층을 배제한다. 일본 사회가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위기 의식을 느꼈다”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일본에서 초고령화는 심각한 사회 문제다. 일본 인구는 14년 연속 감소해왔고, 특히 800만명에 달하는 '단카이 세대'(베이비붐 세대) 절반 이상이 75세에 이르는 2025년엔, 국민 20% 가량이 7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전문가 가와이 마사시는 2017년 저서 『미래 연표』에서 일본 고령자 수가 정점을 맞는 2040년대엔 간병 시설이 부족해 입소 쟁탈전이 벌어지고, 고령의 부랑자가 넘쳐 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내놓기도 했다.

감독 "일본 이미 75세 '후기 고령자' 선 긋기" 

치에 감독은 2017년 ‘플랜 75’를 단편영화로 먼저 만들었다. 2016년 일본 가나가와 현의 장애인 시설에서 무차별 흉기 난동으로 19명을 살해한 범인이 “사회에 도움 되지 않는 장애인은 살처분해야 한다”고 말한 데서 영화를 착안했다. 80대인 자신의 어머니를 비롯해 60~80대 여성 15명을 인터뷰‧관찰하며 사실적인 사회상을 그려나갔다.
극 중 정부는 플랜 75 신청자에게 10만엔씩 준비금까지 지급하며 건강진단이나 의사‧가족의 승인, 심지어 주민등록도 필요 없다고 홍보한다. 치에 감독은 “고령자를 위한 복지 예산 부담을 줄이려는 의도란 걸 보여주려 했다”고 강조했다.

영화에서 미치는 가족 없이 혼자 살며 친구들과 소소한 일상을 만들어간다. 여전히 일할 기력도, 의지도 있지만 그를 받아주는 일터는 없다. 구직 활동도, 지원 제도 신청도 허탕을 친 날 어느 공원에서 그는 플랜 75 홍보부스에서 나눠주는 공짜 식사를 받으며 신청을 고민하게 된다. 사진 찬란

영화에서 미치는 가족 없이 혼자 살며 친구들과 소소한 일상을 만들어간다. 여전히 일할 기력도, 의지도 있지만 그를 받아주는 일터는 없다. 구직 활동도, 지원 제도 신청도 허탕을 친 날 어느 공원에서 그는 플랜 75 홍보부스에서 나눠주는 공짜 식사를 받으며 신청을 고민하게 된다. 사진 찬란

영화 속 안락사 신청 연령을 75세 이상으로 정한 건, 일본 현행 정책에서 착안했다. 치에 감독은 “약 20년 전부터 일본 정부가 75세 이상을 ‘후기 고령자’라 부르기 시작했는데, 75세에 선을 그으면서 ‘당신의 인생은 여기서 끝입니다’라고 말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국가가 이런 (안락사) 시스템을 만든다면 75세로 선 긋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또 “‘후기 고령자’란 말이 나왔을 땐 심각한 표현이란 문제 의식이 있었는데, 지금은 아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플랜 75 제도가 실제 생긴다면 처음엔 반대가 많겠지만, 막상 시작하면 익숙해지고 수용하게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일본, 국가 위한 개인 희생 당연시…가미카제 예시" 

그는 이를 일본의 국민성과 연결 지었다. 그는 “일본에선 자기 책임론이란 개념이 강하다. 정부에 도움을 요청해도 ‘일단 본인이 해결하라. 그래도 안 되면 도와주겠다’는 메시지를 내왔기 때문에 사람들이 점점 고립된다”면서 “시점을 달리하면 플랜 75는 국가를 위해 죽는 것이다. 일본은 개인을 희생해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각이 예로부터 존재해왔다. 제2차 세계대전 때 가미카제 자살 특공대가 한 예”라고 설명했다.

영화 '플랜75'에서 플랜 75 담당 공무원 히로무(오른쪽)는 뜻밖에 안락사 신청을 하러 온 삼촌과 만나게 된다. [PLAN75 홈페이지]

영화 '플랜75'에서 플랜 75 담당 공무원 히로무(오른쪽)는 뜻밖에 안락사 신청을 하러 온 삼촌과 만나게 된다. [PLAN75 홈페이지]

플랜 75 업무를 기계적으로 수행해온 공무원 히로무는 안락사를 신청한 삼촌을 통해 이 제도의 실체를 비로소 제대로 들여다보게 된다. 국가의 명령 하에 수십명의 노인을 '죽음의 병상'(안락사 시설)에 보내온 그가 과속이란 ‘범법 행위’로 경찰의 제재를 받는 장면은 감독의 신랄한 주제 의식을 드러낸다.
영화의 비관적 미래상에 온기를 불어넣는 건 주인공 미치의 존재다. 그는 실직 후 단짝 친구의 고독사 현장까지 발견하지만, 자신과 주변 이웃‧친구들을 살뜰히 챙기며 끝까지 삶을 포기하지 않는다. 오르막길에서 가쁘게 몰아쉬는 그의 숨소리는 영화 초반엔 노화의 비애로 느껴지지만, 결말에선 살아있음의 증명처럼 다가온다.

"안락사 논의 전에 다 같이 잘 사는 세상 고민해야"

영화 '플랜 75'에는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가는 일본 사회의 노동력 공백을 채우고 있는 이주노동자도 등장한다. 심장병이 있는 5살박이 딸을 키우는 필리핀인 마리아는 플랜 75 안락사 시설의 유품 처리를 담당하다 히로무를 만나게 된다. 사진 찬란

영화 '플랜 75'에는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가는 일본 사회의 노동력 공백을 채우고 있는 이주노동자도 등장한다. 심장병이 있는 5살박이 딸을 키우는 필리핀인 마리아는 플랜 75 안락사 시설의 유품 처리를 담당하다 히로무를 만나게 된다. 사진 찬란

치에 감독은 “안락사의 옳고 그름을 논하는 영화가 아니다. 오히려 삶의 아름다움을 말하고 싶었다”고 했다. “일본에서도 안락사를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그는 “나이 듦에 대한 불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불안을 없애기 위해 다 같이 잘 사는 세상을 만들어가자는 방향이 아니라, 힘드니까 죽어야지 라는 생각이 우선시 되는 건 이상하지 않냐”고 반문했다. “인간의 생사를 너무나 간단히, 쉽게 선택하는 그런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위기 의식이 든다”면서다.
실제 2년 전 일본 개봉 당시 “영화를 보기 전엔 ‘플랜 75’ 같은 제도가 있으면 좋겠다는 반응도 많았는데 막상 보고 나선 마음이 변했다거나, 국가가 국민의 생사를 제어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꼈다는 관객들이 적지 않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해결책까지 될 수는 없겠지만, 영화‧예술을 통해 상상력과 감수성을 되찾으며 보다 나은 사회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치에 감독은 당부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