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창용, 금리 동결에 "6명중 5명이 '추가인상' 열어두자 했다" [일문일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금번 기준금리 동결을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간을 두고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를 따져보겠다는 설명이다. 또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선 “물가 경로가 예상대로 목표 수준인 2%로 간다는 확신이 들면 논의할 것”이라며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이창용 총재 [연합뉴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이창용 총재 [연합뉴스]

이 총재는 또 “금통위원 중 다섯 분이 당분간 최종금리가 3.75%까지 오를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며 “또 최종 금리 수준에 대해 한 분은 3.50%로 동결이 적정하다는 의견, 나머지 다섯 분은 당분간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고 소개했다. 다음은 이 총재와의 일문일답

최종금리를 3.75%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나.
한 분은 3.50% 수준으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었고, 다섯 분은 당분간 최종금리를 3.75%로 가져갈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그런 이유에서 모두발언 마지막에 이번 동결의 의미가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는 것은 아니라고 한 것이다. 시간을 두고 과거처럼 추가로 올릴 필요가 있는지 고려하겠다는 결정이었다고 이해해주시면 좋겠다.
동결 결정 배경은.
경기 침체, 부동산 시장 불안 때문에 물가를 희생하면서라도 (동결)했다고 해석하는 것은 사실과 맞지도 않고, 한은의 의도와도 다르다. 경기와 금융시장 안정도 고려하지만, 우리가 생각해왔던 디스인플레이션 경로로 (물가 흐름이) 가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지켜본 다음에 하자는 것이었다.
연말쯤 금리 인하가 시작될 수 있다는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여러 불확실성이 있는데, 데이터가 이 정도면 (물가 상승률이) 2%로 가겠다는 확신이 들면 그때 가서 논의할 것이다. 시기상조라고 이야기한 것은, 앞으로 한 몇 개월 사이에 그런 변화가 나타날 여건은 아닌 것 같아서다.
달러 대비 원화가치가 1300원 수준까지 내렸는데 어떻게 평가하나. 한미 정책금리 격차는 어느 정도까지 적정수준이라고 판단하나.
환율이 물가 경로에 주는 영향은 중요한 고려사항이지만, 1300원이나 1400원 등 특정 환율 수준에 의미를 두고 있지는 않다. 최근 환율 변동은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미 금리차도 마찬가지다. 특정 적정 수준은 없다. 차이가 크게 벌어진다면 환율 절하를 어느 정도 용인할지, 외환보유고로 쏠림현상을 막을지, 금리로 대응하는 것이 좋을지 모든 선택지를 놓고 정교하게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한은의 임무라고 생각한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이창용 총재   [연합뉴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이창용 총재 [연합뉴스]

오늘 수정 전망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6%에서 3.5%로 낮춰잡았는데.
가장 큰 원인은 유가다. 지난해 11월에는 올해 유가 평균을 배럴당 93달러 정도로 예상했는데, 이번 전망에서는 84∼85달러 정도로 전망하고 있다. 공공요금은 작년 수준 인상으로 반영하고 있는데, 실제 정부 정책이 발표되면 예상치를 변경해야 할 상황이다.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우리 경제 긍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중국 경제 성장은 우리에게 긍정적 효과임이 틀림없다. 다만 칩4, 정치ㆍ경제적 불확실성, 중국 경제 회복이 소비재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 등이 효과를 제약할 수 있다는 걱정은 있다. 과거 중국 경제가 1% 정도 성장하면, 한국도 0.2∼0.25% 정도 오르는 것이 기본 모델 수치였는데, 이번엔 절반 정도로 내부 전망에 반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