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MF “한국 경제 펀더멘털 튼튼…커진 공공부채는 우려스러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25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기자 간담회를 가진 스리니바산 IMF 아·태 담당 국장. [연합뉴스]

25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기자 간담회를 가진 스리니바산 IMF 아·태 담당 국장. [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에서 1997년과 같은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펀더멘털)도 튼튼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앞으로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으로 공공부채를 꼽았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은 25일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올해 국내총생산(GDP)의 4% 수준의 경상수지 흑자를 낼 것으로 예상한다”며 “GDP 기준 40% 정도의 순대외 자산과 25% 수준의 외환보유액을 확보한 만큼 경제 기초체력이 튼튼하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원화가치의 약세 원인으로는 한·미 금리 역전을 꼽았다. 그는 “한국은 아시아 국가 중 일찍 긴축에 나섰지만, 미국과의 금리 역전은 환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원화는 주요국 대비 가장 약세를 보이는 통화 중 하나인데, 미국의 통화 긴축 가속에 따른 금리 차가 커지며 달러가 아시아 통화 대비 강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1997년과 같은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스리니바산 국장은 “외환위기 당시 한국의 GDP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은 4%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25%고, 단기외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도 지금은 3배로 확대됐다”고 말했다. 그는 경상수지와 순대외 자산, 견고한 금융 부문 회복력 등을 언급하며 “전체적으로 매우 좋은 여건”이라고 한국 경제 상황을 평가했다.

그는 “공공부채 영역이 우려스럽다”며 “정부 부채가 GDP의 55% 수준까지 늘었는데, 한국 정부는 이 수치가 60%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지적되는 가계 부채에 대해선 “증가 추세는 맞지만 주로 주택담보대출인 데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신중한 관리가 이뤄진 만큼 가계부채 위험은 상당히 적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억제를 위한 긴축이 야기할 경기 둔화 우려와 관련해 그는 “금리 인상으로 성장률 전망이 낮아질 수 있지만, 인플레에 정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달 대비)이 올해 정점을 찍은 뒤 2024년쯤 목표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IMF가 예상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6%, 내년은 2%다. 내년 성장률은 지난 4월 전망치보다 0.9%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