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스타트업도 키우고, 과학영재도 가르친다…“1억6000만 데이터로 사회문제 해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내 데이터센터 모습. [사진 KISTI]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내 데이터센터 모습. [사진 KISTI]

#1. 치매 환자의 돌봄 문제를 해결해주는 앱 ‘프라임’을 개발한 최세정씨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운영하는 ‘사이언스온’에서 주요 연구자료를 검토했다. 보호자가 치매 환자를 돌보는 데 쓰는 시간과 경제적 어려움, 치매 환자용 제품, 특허 동향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최씨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앱 제작 등 사업화 과정에서 사이언스온에 크게 신세를 졌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 정보 인프라 ‘사이언스온’ #KISTI, 2019년 운영 시작해 가입자 19만 #“정부 연구 수행시 데이터 공유 필요해”

#2. 영재 학생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수석교사 손준호씨는 빛 공해를 연구하고 싶다는 아이들의 요청에 가장 먼저 ‘사이언스온’을 검색했다. 함께 관련 논문을 찾기 위해서다. 손씨는 “학교에 출근하면 신문기사 읽듯 사이언스온에 접속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의 저수지 ‘사이언스온’

지식과 정보가 융합하는 4차산업혁명 기술의 기반에 ‘데이터’가 있다. 국가 차원의 데이터 서비스도 강화하는 추세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2019년 1월부터 제공하는 과학기술지식 인프라 통합서비스 ‘사이언스온’이 대표적이다.

사이언스온은 전문 정보 활용과 협업, 인프라 자원 이용, 기술 트렌드 분석, 교육·수강 등 지식 인프라 관련한 300여 개의 기능을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6일 KISTI에 따르면 지난 3년여 동안 1억6000만 건의 국내·외 논문(1억1500만 건), 특허(4200만 건), 연구개발(R&D) 보고서(40만 건), 연구자 정보(78만 건)를 제공해왔다. 국내는 물론 미국·영국·일본 등 39개국, 250여 개 기관에서 수집한 내용이다.

“논문·특허 등 R&D 정보 망라”

지난 4월 말 기준으로 사이언스온의 회원은 19만 명을 넘었다. 일평균 이용자는 5만5000명 정도다. 최광남 KISTI 국가과학기술데이터 본부장은 “사이언스온을 통해 아이디어 발굴부터 과제 수행, 성과 확산 등 R&D 전 주기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연구 과정과 결과를 공유할 때도 유용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는 대학 교수와 학생, 연구기관 및 민간기업 연구원 등이 주로 이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일반 시민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학술용어 해설, 요약정보 제공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이런 통합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기관은 국내에서 KISTI가 유일하다. KISTI는 1962년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로 출발해 올해로 창립 60주년을 맞았다. 1960년대 국내 최초로 4500여 건의 특허 정보를 수록한 ‘외국 특허 목록집’을 발행한 이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과학기술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

60년 동안 국가 데이터 수집·관리

지난해 기준 보유 학술지·논문 수는 1억805만여 건, 국내·외 특허는 4209만여 건, 보고서는 36만여 건에 이른다. 국가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의 업무도 맡고 있다. 정현원 단국대 미래교육혁신원 연구교수는 “워낙 자료가 방대해 주니어 연구자들도 손쉽게 취업이나 진학, 프로젝트 수행, 성과물 작성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가 운영하는 국가슈퍼컴퓨터. 김성태 프리랜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가 운영하는 국가슈퍼컴퓨터. 김성태 프리랜서

김재수 KISTI 원장은 “치매 환자 앱 개발이나 과학영재 지원처럼 ‘세상을 바꾸는 힘’으로서 데이터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연구 결과의 주요 성과를 디지털화해 공개하는 ‘오픈 사이언스’ 정책과 관련해 “정부가 투자한 연구 수행 시 데이터를 반드시 공유하게 하는 등 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