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호남권 성장 정체, 정부 투자 8% 불과…대책 마련 시급"

중앙일보

입력

전남 여수시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하얀 수증기가 올라오고 있다. 연합뉴스

전남 여수시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하얀 수증기가 올라오고 있다. 연합뉴스

호남권의 성장잠재력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광주상의에서 광주·전남·전북지역의 경제 현안과 대응 과제 점검을 위해 '제2차 지역경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발표된 전국 6개 권역의 성장잠재력 지수(RGPI)를 보면, 호남권의 경우 2015년 전국 최하위인 6위(0.86)에서 2020년 4위(0.95)로 올라섰다. 하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잠재력 지수는 지역 내 인적자본, 산업구조 등을 토대로 성장역량을 수치화한 것이다. 지수가 1을 넘으면 전국 평균 이상의 성장역량을 가졌다고 본다.

또한 대한상의가 분석한 지역내총생산(GRDP) 자료에 따르면 전체 GRDP에서 호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9.6%에서 2015년 9.1%, 2020년 8.9%로 지속해서 떨어졌다.

김영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호남권은 자동차·석유화학·철강 등 대한민국 주력산업의 생산거점이었지만, 최근 주력산업이 성장 정체를 겪고 있고 신산업 육성에도 아직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해 성장잠재력이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지역 경제계는 호남권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부족한 탓도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정부가 지출한 전체 연구개발 투자액 227조원 중 광주·전남·전북 지역에 투자한 금액은 18조원으로, 8.0%에 불과했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지만, 호남권에 투자된 금액은 지역경제 규모(GRDP 비중 8.9%)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김 선임연구원은 "호남권의 성장잠재력이 정체된 데는 4차 산업혁명 등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탓도 있지만,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부 대책이 부족한 면도 함께 작용했다"면서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협업이 반드시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