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체육시설 휴장 잦다|시설물 훼손우려 연간 144일까지 놀려|체육부 전국 3백32곳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각 시·도가 관리하는 전국의 공공체육시설이 소극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으로 일관, 사회 체육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한 채 오히려 지방재정의 압박요인만 되고있다.
공공체육시설의 구태의연한 운영으로 인해 적자폭이 날로 늘어나 작년 결손총액이 무려 1백60억원, 시설 한 곳당 평균 7천여만원에 이르고있다.
이는 잔디 등 시설물의 훼손만을 우려한 나머지 일반주민에게 개방을 기피하는 데다 적극적인 수익사업은 아예 외면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이 같은 사실은 체육부가작년 한햇 동안 15개 시·도의 전국 2백32개 각종 공공체육시설의 활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밝혀진 것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한 1천9백78만여명 중 경기관람이 7백90만명(42%)으로 가장 많았고 행사 및 집회 6백2만명(31%), 주민체육활동 3백29만명(17%), 선수훈련 2백55만명(13%)의 순이었고 연평균 개장일(2백23일) 중 공식대회와 선수훈련 1백4O일(57%) 에 비해 주민활용은 76일(31%)에 그쳐 생활체육에의 활용이 뒷전에 밀리고 있음을 드러냈다.
또 시설별로는 야구장(전국15개)이 지난해 1백62일만 개장, 우천· 보수로 인한 휴장일을 제외한 개장가능일 3백6일 중 무려1백44일을 그대로 비워둔 채 놀리는 등 개장률이 가장 저조했고 운동장(축구 및 육상장 96개)과 체육관(69개)도 대부분 개방 가능일수 중 94∼1백2일을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 때문에 체육시설의 재정적자도 심각해져 지난해총수입 80억7천9백여만원에 지출이 2백4O억6천2백여만원에 달해 결손액이 무려 1백59억8천만원이나 됐다.
또 지난해 주민체육활동으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한 인원은 총1천9백78만명의 17%에 불과한 3백29만명이며 생활체육을 위한 개방날짜도 연평균 개방일 3백20일 중 76일(31%)에 그쳤다.
체육부는 이같이 공공체육시설이 저조하고 적자 폭이 큰 것은 시설운영에 따른 관리비 과중으로 시설개방에 소극적이며 우레탄포장·잔디 등 시설물훼손 등으로 주민에게 상시 개방을 기피, 수익사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체육부는 경기단체 또는 생활체육전문가에게 공공시설을 위탁, 올해부터 시·도별로 2∼3개씩 시범적으로 운영한 뒤 내년부터 이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으며 체육시설의 상시개방과 상설스포츠교실의 운영, 체육지도자 배치 등을 내용으로 하는 조례 준칙안을 제정, 시·도에 시달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