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기술협력 요청/자동화협력위ㆍ기초과학센터 공동설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민간부문의 첨단기술 인력연수등 추진/무역역조 시정방안 논의
정부는 노태우대통령의 방일을 계기로 첨단기술이전ㆍ기술인력양성ㆍ무역역조개선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상공부ㆍ과기청등 관계당국이 마련중인 한일경제협력방안에 따르면 산업ㆍ과학기술협력사업으로 한일자동화기술협력위원회설립ㆍ기초과학연구센터설치ㆍ원자력협정체결 등을 정부차원에서 추진하는 한편 위성방송수신기등 32개 첨단기술에 관한 협력,일본 중소기업자동화기술자(5년간 10개 분야 2백10명)의 방한지도와 한국기술인력의 대일연수(2천1백명)등에 관한 민간부문의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 단거리이착륙기개발ㆍ유전공학ㆍ과학위성개발ㆍ핵융합기술ㆍ반도체 장비제조등 17개분야에 관한 한일공동연구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한일무역역조 개선을 위한 통상협력방안으로 일본의 대규모 관민합동 수입촉진단 파견을 요청하고 대한수입유망품 발굴팀의 장기파견,한국상품상설전시장설치,비관세장벽철폐 등을 요구할 방침이다.
정부는 한일정상회담에서는 자유무역주의의 신장을 위한 한일간 공동노력,동북아지역에서 긴밀한 경제협력을 통한 평화정착,북한의 개방유도,양국의 불필요한 산업간 경쟁 및 무역불균형 시정을 위한 수평분업 추진등 기본방향만 제시하고 구체적 협력사업은 양국 각료회담 및 산업기술협력실무자회담등 기존 기구에서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특히 국공립연구소를 통한 기초과학ㆍ첨단분야의 기술이전에 관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며,개도국과의 협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일본의 국제협력사업단(JICA)ㆍ해외기술연수협회(AOTS)등을 통해 기술인력양성에 관한 협조를 얻어낼 계획이다.
또 민간보유기술이라하더라도 EC(유럽공동체)통합등에 맞서기 위해서는 동북아의 주축인 한일양국이 긴밀히 협조해야한다는 점을 강조,일본정부가 적극 나서주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