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가상 시나리오]⑥ 박근혜-이명박 극적인 연대 성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월간중앙정치는 인간의 권력욕을 매개로 벌어지는 자원의 배분이다.
과연 2007년의 양상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10개의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차기 대선 10대 쟁점을 완전 해부했다.


2007대선의 구도는 복잡하다. 야당과 장외의 강력한 세 후보가 트라이앵글 3강 구도를 이루고 있고, 여당 내 유력했던 두 후보는 깊은 늪에 빠져 있다. 박근혜·이명박 두 야당 예비후보의 분열 가능성이 점쳐지는 한편, 장외주 고 건을 중심으로 한 정계개편설이 무성하다.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노무현 대통령과 여당 내 다수 정치인이 그리는 대선 구도가 판이하게 다르다는 점이다. 2007년 대선은 그래서 유례없는 합종연횡, 이변과 역전이 거듭되는 대하 드라마가 될 전망이다.

<손자병법> ‘변편(變篇)’에 이런 구절이 있다. ‘총명한 장수는 사물을 고려할 때 반드시 이해(利害) 양쪽을 살핀다. 이로운 것은 임무를 달성하는 근본으로 삼고, 해로운 것은 의외의 사태 발생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삼는다.’

이것을 요약한 말이 바로 ‘잡우이해(雜于利害)’의 지혜다. 이익과 손해는 서로 뒤섞여 있다는 것이다. 현재 한나라당의 집권을 ‘구국’이라고 생각하는 보수층에서는 박·이 권력분점을 전제로 한 대선 전 후보단일화를 요구하고 있다. ‘잡우이해’의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양측의 세력과 지지도가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에서 두 사람의 경선 대결과 이후의 후유증이 심각한 결과를 낳으리라는 것이 ‘잡우이해’의 논리적 근거다.

이 전 시장 측은 ‘이명박-박근혜’ 후보단일화에 대해 ‘필패론’으로 일축한다. 박근혜 전 대표 역시 이 같은 주문에 대해 일절 언급을 피하고 있다. 이 전 시장은 시장 재임시절 “한나라당 주변에서 ‘이-박 연합조’를 필승 카드라고 말하는 이들이 많은데, 이는 지난 대선에서 패배한 (요인인) 안일한 대세론”에 불과하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 같은 대세론에 안주해서는 절대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전 시장의 이 같은 발언은 경선 때까지 인위적인 후보단일화를 추진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이 전 시장의 지지기반이 상당부분 겹치는 만큼 인위적인 후보단일화의 시너지가 거의 없다는 분석이다. 지역 정서나 투표 성향 등을 고려할 때 ‘1+1=2’가 아니라 ‘1+1=1.2’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이다.

한나라당 내에서도 사전 연대론에 대해서는 비판적 분위기가 대세다.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일에 힘을 소진할 필요가 없고, 성사의 기대만 부풀렸다 실패하면 부작용이 더 크다는 논리에서다. 경선 전 탈당 의혹을 받는 이 전 시장은 “누가 경선을 통과해도 결국 진 쪽이 상대방을 돕게 되는데 (사전에) 연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박-이 사전 연대설’의 논리는 그래서 최근 여권의 ‘분열공작’에 대한 경계, 경선 결과에 대한 철저한 승복, 경선 후 패자의 승자 지원 등으로 그 포인트가 전환하고 있다. 열린우리당의 한 친노직계 의원은 “YS나 DJ도 못한 일을 어떻게 하겠느냐. 한나라당 전체를 아우르는 카리스마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사전 연대는 불가능하다”고 단정했다. 분열이 시너지로 가느냐, 아니면 공멸로 가느냐는 두 예비후보의 정치적 성실성, 성숙한 권력 의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기홍 월간중앙 객원기자

(시리즈 목차-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①한나라당 후보 경선과 이명박 신당설
②박근혜 필승론, 함정과 변수
③열린우리당 '오픈 프라이머리'파괴력
④민주당발 정계개편,호남 캐스팅보트론
⑤고건 범여권 신당 성립과 그 파괴력
⑥박근혜-이명박 극적인 연대 성사
⑦범여권 서부벨트연대론과 1대1 대결 구도
⑧김근태·정동영의 운명
⑨손학규·천정배, 잠룡들의 생존전략
⑩노무현-이명박 연대 가능한가?

자세한 내용은 월간중앙 9월호에 있습니다.

매거진 기사 더 많이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