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옛시가지 개발 무산?

중앙일보

입력

서울 양천구 목동 옛시가지 개발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투기가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이다.

양천구는 목 2∼4동 일대의 옛시가지 30만평을 도시재정비촉진지구로 개발할 계획으로 타당성 용역을 준 상태다. 이 지역은 1970∼80년개 형성된 노후주택밀집지역으로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주민들의 개발요구가 강한 곳이다. 노후도가 심하지 않아 서울시의 뉴타운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7월 시행된 도시재정비촉진특별법의 재개발요건 완화 혜택을 받으면 촉진지구로 개발가능할 것으로 본 것이다.

특별법은 현행 재개발 요건을 20%까지 완화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런 혜택이 없어도 호수밀도나 접도율 등은 재개발 요건에 맞을 만큼 열악한 상황이다.

문제는 노후도였다. 현행 재개발 노후도 요건은 20년 이상된 건물이 전체의 60% 이상이다. 구청이 용역을 발주한 것도 노후도를 집중적으로 따져 사업성이 있는지를 따져보려는 것이었다.

그런데 특별법은 호수밀도 등 다른 요건의 기준은 완화하면서 노후도는 뺐다. 노후도 요건을 너무 낮게 하면 보존하고 살만한 지역도 허물어 무분별한 개발이 우려돼서다.

노후도 높아야 되는데 새집 때문에 자격 미달?

노후도 완화가 없어도 사업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 용역을 줬는데 난데없는 불청객이 들어왔다. 개발계획 검토가 알려지면서 개발 후 보상과 분양권을 노린 건물 신축이 봇물을 이룬 것이다. 양천구청은 건축허가는 제한하지 않았다.

구청 관계자에 따르면 올들어 들어온 건축허가의 80%가 옛시가지에 집중됐다. 새 건물이 잇따라 들어서면서 노후도에 불똥을 튀겼다. 그러잖아도 노후도 요건이 맞을까 불확실한 상태에서 건물 신축이 계획에 차질을 준 것이다.

구청 관계자는 “신축 건물들 때문에 노후도가 4∼5%는 낮아진 것 같다”며 “연말께 최종 용역결과가 나와봐야 확실해지겠지만 지금으로선 촉진지구 개발을 낙관하기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목동 옛시가지 일대는 개발 소문이 퍼지면서 평당 1000만원선이던 소형 빌라 가격이 배 이상 올라 평당 2000만원을 넘게 호가한다.

목동 옛시가지 개발의 앞날은 사업을 추진하는 구청도 장담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조인스랜드>

ADVERTISEMENT
ADVERTISEMENT